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뉴스
"
잘못
"(으)로 총 1,8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전달하는 단백질이다. 샤페론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이 3차원으로 올바로 접히도록 하고
잘못
접힌 단백질의 응집을 방지해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돕는다. 먼저 연구팀은 샤페론 중 하나인 'PEX19'에 무작위 돌연변이를 유도해 수십만 개의 변이 라이브러리를 제작했다. 변이 라이브러리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과정에서 경험하는 혼란에 대한 냉정한 분석은 꼭 필요하다. 그런 분석은 누구의
잘못
을 지적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혼란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서 다시는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우리의 '매뉴얼'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기 때문이다. 여객기 참사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분별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분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꾼다
2025.01.11
많다. 하지만 적개심과는 다르게 개인적으로
잘못
된 일을 당하는 것 뿐 아니라 타인이
잘못
된 일을 당했을 때에도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도덕 규범이 무너졌을 때에도 나타나는 감정이다. 사회 정의와 관련된 감정이다 보니 집단적인 규모로 나타나기도 한다. ... ...
"영화예고편인가요?"…'사전공개 논문' 의미, 다수가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사전공개 논문은 나중에 철회되거나 결론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 뉴스로 보도될 경우
잘못
된 정보 확산 우려가 있어 일반적으로 기사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하면서 논문 사전공개 시스템은 생명과학이나 의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연구결과를 빠르게 ... ...
체질량지수 25 VS 27…BMI 기준 논쟁
과학동아
l
2025.01.04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체지방 대신 근육이 많은 사람도 BMI 수치가 높게 나와 비만으로
잘못
진단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허 교수는 "국내 연구에서도 BMI는 체지방'률'보다는 체지방'량'과 관련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체질량지수(BMI)를 넘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아는 것, 목표 달성 성패 가른다
2025.01.04
내일의 당신에게 유효하리라는 보장도 없다. 하지만 일단 모든 개선의 시작은 ‘뭔가
잘못
된 것 같다’는 느낌이다. 만약 머리 속에서 이런 알람이 들려온다면 적어도 출발선에 서 있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Carver, C. S., & Scheier, M. F. (2001). O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과학사극장] 과학계 거장 마이클 패러데이, 수학 못했다?
과학동아
l
2024.12.28
이라는 개념을 만들어서 장애물을 돌파했다는 식이다. 이는 패러데이의 과학적 방법론을
잘못
이해한 결과이자 실험을 이론의 부속물로만 보는 편향된 시각에서 비롯됐다. 그가 기초적인 셈법만 배웠던 것은 사실이지만 패러데이는 화학과 전자기 현상을 연구하면서 매우 독특한 수학적 사고를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줄이는 유전자 교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잘못
정렬된 유전 정보가 작용하지 않게 만드는 기술이다. 기존에 독성을 갖거나
잘못
된 형태로 접힌 단백질의 축적이 유발하는 '뒤센 근이영양증'이나 '헌팅턴병'을 치료하는 데 활용됐다. 이번에 사용된 유전자 교정 기술 스플라이서는 엑손 스키핑을 통해 특정 엑손을 제거하거나 더하는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만들어지는지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며 “뇌 발달에서 세포 전환이
잘못
될 경우 뇌전증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신경질환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p18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치료법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EMBO ... ...
기후위기의 시대 '음식 재료'로 승부하라…흑백기후요리사
과학동아
l
2024.12.21
달라지고 꽃이 떨어지는 시기가 당겨져 열매가 제대로 맺히지 않는다. 밤나무가 계절을
잘못
인식해 비정상적인 시기에 열매를 맺고 밤이 다 익기도 전에 열매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폭우와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강수 패턴은 밤나무의 산소, 수분 공급을 방해한다. 밤이 특산물인 전남 광양은 2023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