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PS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지피에스
지피에쓰
내비
내비개이션
내비게이션
뉴스
"
위치확인시스템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서도 태양폭풍 오로라 포착…아름다운 붉은색 '선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좌측) 미국 레몬산에 위치한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 4호기로 관측한 오로라. (우측) 몽골에 위치한 OWL-Net 1호기로 관측한 오로라. 붉은 빛 오로라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21년 만의 강력한 태양 폭풍이 지구를 덮침에 따라 지구 곳곳에선 형형색색의 오로라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젊은 여성이 아이에게 쓴 맛이 나는 약을 먹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단 맛을 느낄 때 유쾌함을 느끼고 쓴 맛을 섭취할 때 불쾌함을 느끼는 인체 메커니즘은 때때로 건강관리의 걸림돌이 된다. 부모들은 쓴 맛의 감기약을 먹기 싫어하는 어린아이 때문에 고생한다. 나이 든 성인들도 몸에 좋은 쓴 ... ...
챗GPT 닮은 생성형AI로 '유전자 가위' 만든다
2024.05.04
세계 최초 AI 생성 오픈 소스 유전자 가위인 '오픈크리스퍼-1(OpenCRISPR-1) 구조. 프로플루언트바이오 홈페이지 캡처.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버튼 하나를 누르면 ‘유전자 가위’를 설계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일부 염기를 제거하거나 삽입하는 교정을 통해 유전질환 ... ...
"한국서 외면받는 진료과, 캐나다에선 인기...의사 투명성·자정작용 작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김태경 토론토대 영상의학과 교수(위 왼쪽)가 30일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의료가 나아가야 할 길 긴급 심포지엄’에서 Q&A 질문을 받고 있다. 한국과 캐나다 의료시스템을 모두 경험해본 캐나다인 교수가 한국 의료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의사가 사랑받고 신 ... ...
[人투더스페이스]④ "우주청, 어떤 국제협력할지 고민해야…기초과학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대중들이 아는 것이 중요하다. 우주라는 분야는 사람들이 막연하게 생각한다. 위성
위치확인시스템
(GPS)이나 선글라스, 메모리폼 모두 우주개발에서 나온 것들이다. 우주라는 분야를 차기 먹거리로 육성하려면 개인의 목소리보다 대중이 움직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시안 스페이스 파크 ... ...
[과기원NOW] GIST, 과학기술 ‘나눔 비전’ 선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GIST 구성원 대표 12명이 23일 GIST 오룡관에서 열린 대외협력 비전 선포식에서 나눔의 꽃을 피우는 나눔 비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3일 ‘2024년 대외협력 비전 선포식’을 열고 모든 구성원이 합심해 ‘나누면 더 커지는 나눔 문화’를 전파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 ...
[사이언스게시판] 어린이날이 심심한 어른이들 모여라 ‘현생탈출 넘버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국립중앙과학관 어른이날 이벤트 '현생탈출 넘버원' 포스터.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 국립중앙과학관은 오는 5월 6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에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체험 프로그램 '현생탈출 넘버원'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프로그램은 감성 있는 천문해설 '별의 일생', 우주먼지가 되어 보는 ... ...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KAIST 연구팀이 방광 기능 모니터링 무선 이식형 플랫폼의 효능을 쥐와 개코원숭이 모델 대상으로 확인했다. KAIST 제공. ■ KAIST는 권경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김지혜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와 함께 방광 크기 및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 ... ...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대표적으로 유체 이탈이 있다. 우리 뇌에는 자신이 위치한 장소를 인지하는 위성
위치확인시스템
(GPS) 기능을 수행하는 '격자 세포'와 '장소 세포'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이들 세포가 위치에 따라 차례로 반응해 우리의 위치를 좌표 형태로 인식한다. 공간 내 ... ...
한국형 GPS 개발 위해 기업과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대회의실에서 '국가 PNT 인프라 개발·활용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PNT는 GPS(위성
위치확인시스템
)로 대표되는 인공위성 기반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서비스다. 정부는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 위치기반서비스 등 신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PNT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한국형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