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반도체 산학연 세계 최고 수준. 연구 다양성 부족이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8
분야는 점차 경쟁력을 잃는다는 게 김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유선통신을 다루는
와이어
라인 분야의 경우 한국이 강했던 분야인데, 오래 연구해야 겨우 논문 한 편이 나오다 보니 지원이 줄었고 지금은 한국에서 이 분야가 크게 위축됐다. 실리콘 광학 등 분야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18일 ... ...
수레시 난양공대 총장 "작은나라의 젊은 대학, 협력만이 살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가능한 버스로 개조해 시험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의 원자력 에너지국과는 컴퓨터나
와이어
, 휴대 전화와 같은 전자제품 쓰레기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연구실 수준을 넘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갈 계획이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술과 사람이 ... ...
구불구불 뇌혈관 속도 다니는 실지렁이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이용해 실제와 똑같은 굵기로 만든 뇌 혈관 모형을 지나는 실험 결과, 이번에 개발한
와이어
로봇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며 "뇌혈관 중에서도 미세한 것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지름 300µm이하로도 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애먼 파텔 하버드대 의대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온도를 동시에 느끼는 센서를 만들었다. 먼저 산화아연을 매우 작고 긴 구조물인 나노
와이어
로 만들었다. 이 소재는 압력을 느끼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에 서로 다른 금속을 이어 붙인 전기회로를 덧붙였다. 열을 가하면 회로 속 두 금속의 온도 차가 생기는데, 이를 인지하면 신호가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먼저 산화아연을 재료로 매우 작고 긴 구조물인 나노
와이어
를 만들었다. 산화아연 나노
와이어
는 압력을 느끼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누르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동력 압력 센서로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여기에 서로 다른 금속을 이어 붙인 전기회로를 덧붙였다. 외부에서 이 ... ...
소형 웨어러블 기기 만들 세밀한 전극 3D프린팅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사용하는
와이어
본딩 기술이 적용되는데 이 기술은 단단한 표면에만 적용할 수 있다.
와이어
본딩 기술은 집적 회로 내 전극을 3차원으로 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연구진은 금속 내에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배치해 금속 복합체를 만들었다. 신축성이 좋은 금속에 구조를 탄탄하게 ... ...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
와이어
'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지난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이산화바나듐 나노
와이어
어레이 성장과정 모식도 및 주사전사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냈다. KIST 제공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한 프로토타입 외에도, 모든 전극과
와이어
가 안쪽에 장착돼 있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무선 루크 암을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루크 암을 낀 사람이 사물의 특성에 따라 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손을 흉내 낸 신경근육 시스템을 ... ...
누르면 위치와 압력 정확히 인식하는 3D 터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장치의 원리. 은 나노 입자와 레이저를 이용해 미세 물결 구조를 만들고, 투명한 나노
와이어
전도체와 포개 만들었다.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부분의 위치와 압력 세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3차원 위치와 압력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투명하고 유연한 ... ...
섬유 실을 발열소재로 만드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투명하고 기계적인 유연성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존 발열 소자는 금속 나노
와이어
나 그래핀,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이 소재들은 재료비가 비싸고 기계적인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그래핀의 경우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