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기
하계
여름
여름절기
뉴스
"
여름철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난해 역대급 가뭄 뒤 폭우…'이상기후' 피해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해수면온도 17.5℃로 최근 10년(2014~2023년)간 2021년 17.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여름철
폭염에 의한 연안역 고수온 현상이 9월 중순까지 지속됐다. 서해 연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에서 약 438억 원의 피해액에 달하는 양식생물의 대량 폐사 피해가 발생했다. 국내 최초로 식물계절 ... ...
1초에 3m나 찍! 매미 소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0
뿜어 낸다 (왼쪽 매미가 오줌을 배설하는 장면을 가까이서 관찰한 모습). Saad Bhamla et al.
여름철
나무 밑을 지나가다 매미의 오줌 세례를 맞아본 적 있나요. 매미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00배에 달하는 나무의 수액을 마십니다. 수액에서 영양분만 섭취하고 나머지 95%인 물은 오줌으로 배설합니다. 202 ... ...
[헷갈린 과학] 가습기와 제습기를 같이 작동시키면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30
●제습기 제습기는 가습기와 반대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해 습도를 낮추는 장치입니다.
여름철
의 덥고 습한 환경은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습도를 잘 조절해야 합니다. 제습기 또한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3가지로 나뉘어요. 냉각식 제습기는 열을 전달하는 ... ...
남극에서 살아남은 식물의 비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앱시스산'이 이끼의 겨울철 휴면 시작 시점과 휴면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
여름철
에는 큰 일교차와 강한 자외선에 대응하는 항산화 유전자의 발현도 확인했다. 이정은 책임연구원은 "남극이끼의 극한 환경 적응 전략은 수백 년 동안 이어온 남극 식물의 고유한 유전 자원 덕분"이라며 ... ...
[과기원NOW] GIST, 순록 눈 영감 받은 광필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유지시키는 능동 나노 광필터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북극 지역에 서식하는 순록은
여름철
황금색을 띠던 눈동자가 겨울철이 되면 파란색으로 변한다. 파란색 눈은 극지방 동절기의 청색광 환경에서 빛 흡수를 극대화한다. 쌓인 눈 속 먹이 찾기에 유리하게 진화한 것이다. 눈 내부에 있는 ... ...
더 따뜻해진 남극 여름…'극소용돌이'가 빨리 사라진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중위도의 따뜻한 공기가 서남극의 로스해, 아문젠해로 많이 들어온다. 그 영향으로
여름철
의 기온이 올라가고 해빙이 줄어드는 온난화가 나타난다. 심지어 햇빛을 반사하는 해빙이 줄어들면 남극 온난화 현상을 가속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아문젠해는 ‘종말의 날’ 빙하라 불리는 스웨이츠 ... ...
기후변화로 빙하 녹자 북극곰 몸무게는 하루 1kg씩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연구팀은 2019~2022년 캐나다 매니토바주 서부 허드스만 지역 북극곰 20마리를 대상으로
여름철
활동량과 신체 변화를 추적했다. 북극곰들에게 카메라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추적기를 부착해 하루 에너지 소비량, 체질량 변화, 먹이, 행동, 움직임 등의 데이터를 수집했다. 북극곰들은 육지에서 ... ...
"탄소중립 후 '해양 반격' 시작"…KISTI·포스텍 슈퍼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또 전 지구 자오면 순환의 시작점인 열대수렴대가 남하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한반도는
여름철
강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오지훈 포스텍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깊은 바다를 통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랫동안 인류에게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분석했다. 토양 입자 분석 결과를 기후 시뮬레이션 모델과 결합해 연간 강우량,
여름철
기온을 비롯해 다양한 기후 변수를 측정했다. 그 결과 호모사피엔스가 동아시아 대륙에 처음 당도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약 12만 5000년 전에서 7만년 전 사이 동아시아는 약 27.5도의 기온에 현재보다 더 비가 ... ...
“겨울철 불청객 노로바이러스 환자 급증…영하 20도서도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의정부을지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바이러스의 수가 겨울에 더 많아진다기보단
여름철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세균은 추운 날씨에 사멸하는 반면 노로바이러스는 겨울까지 견딜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겨울에 자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도에서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