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질
알맹이
실재
진수
정수
근본
내용
뉴스
"
실체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코놉카는 염색체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유전자의
실체
(염기서열)는 1980년대 다른 연구자 세 사람이 밝혔고 이 업적으로 이들은 201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벤저와 코놉카는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per 유전자의 존재가 알려지고 50년이 지났음에도 생체시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촉각수용체 발견, 만성통증 치료 시대 올까
2021.10.05
발전에 힘입어 감각신경에 존재하면서 주변 환경의 변화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분자들의
실체
가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빛(시각)을 감지하는 망막의 로돕신 분자, 냄새(후각)를 감지하는 후각상피의 후각수용체 분자에 관한 연구는 이미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각각 1967년, 2004년). 청각, ... ...
메타버스 세계의 열기 느끼고 진동도 감지하는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3부분에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시트 형태 히터가 있다. UNIST 제공 가상현실(VR)에서
실체
물체를 만지는 것 같은 열과 진동을 전달하는 장갑이 개발됐다. 사용자의 움직임까지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VR 사용 몰입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7일 배준범 ... ...
[인터뷰]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
수학동아
l
2021.09.25
도구를 활용해 원과 구로 나타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개념의
실체
를 수학으로 나타내고, 새로운 원리를 찾아내 알리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학생과 일반인에게 어떻게 하면 개념을 쉽고 체계적으로 전달할지에 대한 교육 방법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두 분야를 모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1.09.23
호르몬과 구조가 비슷해 GLP-1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보낸다. GLP-1은 비교적 늦게
실체
가 드러난 호르몬이다. 같은 양이라도 포도당 주사를 맞을 때보다 포도당을 먹을 때 혈당조절이 잘 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고 마침내 음식을 먹을 때 장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주류 과학계에서는 대체로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대상을 자연에 실제로 존재하는
실체
로 받아들이기를 꺼렸다. 카우프만도 그런 전통에 속해 있던 과학자여서 톰슨보다 훨씬 더 좋은 실험결과를 얻었음에도 그 결과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실패했다. 톰슨은 이런 전통에서 비껴나 있었고 ... ...
[감염병 시대 우리말](하)한국만 쓰는 코로나19, 선택이 맞았나
2021.08.30
불리는 코로나19가 전세계에서 맹위를 지금도 떨치고 있는 상황에서도 각국은 지금도
실체
규명과 함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통해 과학적 성과들을 일구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지식들은 현장의 의사와 방역당국, 제약기업들 사이에 공유되고, 일부는 위기를 지혜롭게 넘기기 위한 정책 결정을 ... ...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상)어려운 말 고집하는 전문가들
2021.08.23
정부나 과학계는 어느 때보다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며 정체 불명의 감염병의
실체
와 대처법 찾기에 나섰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과학 기술 의학 분야의 전문 용어가 대중에게 노출됐고 새로운 개념의 방역 용어도 등장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신조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가장 유명한 성공사례를 꼽으라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것이다. 유전물질의
실체
인 DNA의 분자적인 구조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들이 이중나선이라는 결과를 얻는 데에는 X선을 이용해 DNA의 내부구조를 찍었던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여전히 과학기술 분야에서 논문 조작은 내부 고발이나 누군가의 제보를 통해서만 그
실체
를 드러낸다. 얼마나 많은 과학기술 분야의 논문이 조작되었는지 아무도 정확하게 짐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게재된 논문의 철회를 감시하는 사이트인 '리트랙션워치'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논문이 게제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