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과실
실책
실패
과오
실례
착오
뉴스
"
실수
"(으)로 총 74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라이다'...미발굴 유적지 찾는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당시 고고학자들은 15~17세기 지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고고학자들이 연대 측정을
실수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요새가 빽빽한 초목에 숨겨져 있어 착오를 일으켰다. 무려 10세기나 차이가 났던 스페인 중세시대 요새 구축 시기를 바로 잡은 것은 공간 측정 기술인 ‘라이다(LiDAR)’ 덕분이다. 자율주행 ... ...
[주말N수학] 허수 i는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3.03.04
건 아니에요. x2 = -1이나 x2 = 2처럼요.
실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도 마찬가지로 모든 해가
실수
는 아니지요. 하지만 앞서 이야기한 가우스의 대수학의 기본 정리에 의해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복소수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예요. 그러니까 수 체계를 더 확장할 걱정이 없어요. 방정식의 해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상상들을 기반으로 부풀려진 자존감은 건강하지 않다고 보았다. 여전히 작은(?)
실수
들에도 좌절하고 스스로에 대해 실망하는 나를 보고 여전히 지나치게 큰 자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하게 되었다. 사람들 앞에서 쭈뼛쭈뼛 하는 것도, 어색한 미소를 날리는 것도, 부끄러움이 많은 것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보인다. 상대가 기본적으로 좋은 사람이며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상대의
실수
나 잘못을 ‘고의로’ 또 ‘나를 해치려는 속셈으로’ 그랬다며 악의적으로 해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비슷한 갈등이 생겨도 서로에 대한 신뢰가 두터운 커플은 그렇지 않은 커플에 비해 서로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밝혀내지 못하고, 다른 나라의 허용기준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면서 무작정 같은
실수
를 반복하는 제조사의 어설픔이 몹시 안타깝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라면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건강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길 수밖에 없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당연한 ... ...
과학자들이 손을 안 씻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경우가 많다.사카린, 수크랄로스, 시클라메이트 등 단맛을 내는 물질은 과학자들의
실수
로 우연히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적 발견은 우연한 계기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의 필수 덕목인 청결을 지키지 않거나 의사소통에 오해가 생겨 본의 아니게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 사례도 있다 ... ...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계통(CVCS)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원전 설계가 단순화된다. 정상운전 시 운전원이
실수
할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물리적으로는 5개로 이뤄진 다중방벽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외부 유출을 차단한다. 김 단장은 "i-SMR은 철제형 격납용기를 원전 건물 내에 설치해 항공기 충돌 등의 ... ...
[주말N수학] 수학계가 시끌...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
수학동아
l
2023.01.07
앤드루 그랜빌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는 에 “실제로 논문에서 몇 가지
실수
가 발견됐지만 당장 수정할 수 있어 좋은 학술지에 게재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학자가 논문을 발표하는 건 지극히 일상적인 일. 그런데 왜 이렇게 많은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2
수학동아
l
2022.12.24
필요한데요. 선택 공리가 비구성적이기 때문에 결론 또한 비구성적이 돼버렸습니다.
실수
집합이 정렬 순서라는 것을 알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순서를 매겨야 하는지는 모르는 판국이 된 것입니다. 비구성적 논증이 어떻게 생겼는지 한 가지 퍼즐로 설명해 볼게요. a와 b가 무리수일 때, ab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지난 한 세기 동안 환경 문제를 소홀히 여기고 화석 연료를 마구 써버린 우리 자신의
실수
를 엉뚱하게 탄소의 탓으로 돌려버리려는 자세는 매우 비겁한 것이다. 탄소가 우리의 무분별한 소비와 낭비를 부추긴 것도 아니다. 화석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면 반드시 지구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