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소외
소척
냉대
뉴스
"
소외
"(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태원 참사 사진·영상 많이 보면 심리적 트라우마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압사사고 참사와 관련해 “현장사진 등 자료 ... 생존자와 유가족의 정신건강 문제를 돌봐야 한다”며 “청소년과 청년, 외국인 등
소외
되는 사람 없이 치료와 지원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종차별에 기여한 학술지의 반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22
과학 사업에서 배제됐고 연구는 차별적 사고를 뒷받침하는 데 사용됐으며 연구 결과는
소외
된 사람들을 무시하고 인종차별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네이처는 인종차별적 유산을 만드는 데 한몫을 해왔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2020년 미국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에서 발생한 조지 플로이드 ... ...
'슈뢰딩거의 아이들' '숲'...올해 최고의 SF 작품
동아사이언스
l
2022.10.16
차원을 뛰어넘어 연결이 되는 기술이 있어도 누군가는 외로운 처지가 돼 버리는
소외
된 아이들의 외침을 담은 작품이다. 임태훈 장편소설 부문 심사위원장은 "지금 시대의 주요 화두라고 할 수 있는 메타버스, 장애인, 아동 인권의 문제를 솜씨 좋게 엮어냈다"고 평가했다. 중·단편소설 부문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③ "'낯설다'와 '어렵다'는 별개...쉬워야 한다는 편견 버려야"
2022.10.07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기획을 진행해왔습니다. 올해는 세대간 격차를 넘고
소외
계층도 이해할 수 있는 의과학용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② "노년층은 외래어에, 청년층은 한자어에 취약"
2022.10.06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기획을 진행해왔습니다. 올해는 세대간 격차를 넘고
소외
계층도 이해할 수 있는 의과학용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2022.10.05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기획을 진행해왔습니다. 올해는 세대간 격차를 넘고
소외
계층도 이해할 수 있는 의과학용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합니다. “용어에는 실마리가 담겨 있어야 한다” 구연산은 시트르산을 통상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약 유기산으로 자연에서는 감귤과 레몬 등에서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전문구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소장은 "고도화된 수어 서비스를 통해 청각장애인도
소외
되지 않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윤진효 전자정보시스템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이 현대사회에 기반한 새로운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해 세계 3대 경제 ... ...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수 있는 샌드댐을 건설했다고 23일 밝혔다. 건설연 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물 공급
소외
지역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래저장형댐(샌드댐)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샌드댐은 아프리카 같은 건조 지역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홍수를 저류시켜 흙입자를 침전시킨 뒤 그 속에 저장된 ... ...
방역당국 "코로나 대응 의료체계, 하루 확진 21만6000명까지 감당"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전국 동네 병·의원 세 곳 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또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이 진료에
소외
되지 않도록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패스트트랙과 원스톱 진료기관을 운영하고 야간과 휴일에도 대응 가능한 의료상담센터를 172곳 운영한다. 내일부터는 수도권의 주말당직병원을 운영해 ... ...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서울대 초빙 석좌교수 임용
연합뉴스
l
2022.06.20
의과대학 교수직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서울대는 김 신임 석좌교수가 개발도상국
소외
계층 주민들을 위한 백신 개발과 보급에 힘썼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 불평등 완화를 위해 헌신했다는 점을 임용 배경으로 설명했다. 그는 다음 달부터 2025년 6월까지 3년간 서울대에서 강의 및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