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상
상해
자취
흔적
얼룩
자국
손상
뉴스
"
상처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치사율 30% 감염병 유행…일본 여행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은 코로나19처럼 비말, 신체 접촉으로 전파되며 피부
상처
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시에는 항생제 치료를 진행하고 무엇보다 평소 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잘 씻는 등 감염 예방 수칙을 잘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
당뇨병 만성
상처
실시간 추적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감염 수준을 감지 함으로써 병원이나 가정에서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균, 범용
상처
모니터링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19일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의협 "정부, 전공의 마녀사냥…국가 자살 상태로 가는 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학생과 전공의들은 정부의 폭압과 마녀사냥으로 인해 씻을 수 없는
상처
를 입었고
상처
는 아물더라도 큰 흉터를 남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5일 발표한 의대 운영 대학의 의대 증원 신청 규모인 3401명에 대해서는 ‘터무니없는 규모’라고 비판했다. 의협은 ”의대 교수들의 분노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분무하여 수술실 전체를 소독하기, 수술 시 의사의 손과 모든 수술 기구를 소독하기,
상처
와 접하는 모든 물체를 소독하기 등을 계속해서 시도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이다. 리스터의 연구결과를 이용해 본 다른 의료진들은 이차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이로써 그의 주장이 차차 ... ...
사냥시 서로 안 찔리려고 줄무늬 반짝이는 청새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포식자다. 청새치는 먹잇감에 최대한 따라붙은 다음 턱을 휘둘러 빠르게 공격한 뒤
상처
입은 물고기를 유유히 먹는다. 이때 정신없이 턱을 휘두르다 서로를 다치게 할 가능성도 있다. 연구팀은 태평양에서 정어리 떼를 사냥하는 청새치의 모습을 촬영한 고화질 드론 영상 12개를 분석했다. ... ...
감각전달·피부재생 동시 가능한 인공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2.18
촉각 기능의 재건 효과를 실험한 결과 이식 후 14일 경과 시점에 대조군 대비 120% 이상
상처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또 사람의 손끝에서 느끼는 압력 범위와 유사한 10~40kPa(킬로파스칼·압력 측정 단위)에서의 외부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맞는 전기 신호 조절을 통해 쥐의 반응이 달라지는 것을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스몰’에 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팀은 안쪽에는 홍합 접착단백질이 포함된
상처
접착층이, 바깥에는 누에 실크단백질로만 구성된 보호층이 결합한 지혈제를 개발했다. 홍합 접착 단백질에선 혈소판을 활성화하는 우수한 지혈 효과를 활용했다. 누에 실크단백질에는 메탄올 증기를 사용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서운함이 더 크다. 관계를 좋게 만들겠다고 애쓴 결과가 행복이 아니라 서운함과 후회,
상처
받은 마음이라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또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타인을 잘 신뢰하지 못하기도 한다. 타인이 사랑과 감사 등 보답의 신호를 보내도 저 사람이 나를 좋아할리가 ... ...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연합뉴스
l
2024.02.01
병원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폐는 물론 화상이나 수술 환자의
상처
에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연구팀은 먼저 녹농균 박테리아로 시작해 여러 박테리오파지에서 DNA를 정제하고, 짧은 고전압 펄스를 이용한 전기 천공 기술로 박테리아의 외부 막에 일시적으로 구멍을 낸 다음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수 있고 깊게 찢어지거나 베여도
상처
부위 외 영역에서 촉각 감지 기능이 유지된다.
상처
부위를 보수하면 기능 회복도 가능하다. 기계적·전기적 물성 조절이 가능해 의수나 의족에 사용하면 실제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외형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김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2022년 6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