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황야
황무지
불모지
아라비아사막
아라비아
모래땅
모래벌판
뉴스
"
사막
"(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원도 인제군에서 포착된 '해파리 성운'…천체사진공모전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촬영한 작품 사진부문 지구와 우주(금상)- 은하수와 사진가, 조영훈. 2022년 5월, 서호주의
사막
에서 은하수를 찾아 다니는 사진가를 촬영한 사진 사진부문 지구와 우주(은상)-울산바위 설경과 은하수, 곽경언. 울산바위의 설경 위에 펼쳐진 은하수의 모습을 촬영한 작품. 사진부문 지구와 우주(은상) ... ...
화재 위험 없는 '전고체 전지' 언제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엿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예를 들어 기온이 높아 리튬이온전지를 쓸 수 없는
사막
등지에서 전기차용 전고체 전지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하 책임 연구원은 “틈새 시장 공략 후 지금의 리튬이온전지 시장의 1%만 전고체전지가 점유한다고 해도 그것도 매우 큰 시장”이라며 “점차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지형적인 한계다. 과학기구 연구시설과 발사장을 지으려면 인적이 드문 광활한 평야나
사막
지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악지형과 인구 밀집 지역이 많고, 국토가 작아 대부분의 영공이 항공로로 편성돼 있다. 지형적 한계를 극복할 만큼 국내에서 과학기구에 대한 수요가 확실하지 않은 ... ...
봄철 불청객 황사, 중국 발생 빈도 줄고 몽골 발원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봄철 중국의 황사 발생 빈도는 2000년 이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국 북부지역과 고비
사막
도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몽골 지역에서는 2000년 이후 황사 발생 빈도가 높아졌다. 지난해 약 13회 황사가 발생했다. 2000~2022년 기간 몽골 지역에서 황사가 발생한 빈도는 연평균 6.83회다. 20년만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하라
사막
이남, 나무 100억 그루가 품은 탄소량
동아사이언스
l
2023.03.04
건조지의 특성을 반영해 각 나무가 품은 탄소 저장량을 추정했다. 분석 결과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 중에서도 가장 건조한 지역에 자란 너무는 평균 51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었다.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의 나무의 탄소 저장량은 두 배 가까이 많은 98kg의 탄소를 품고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 ...
[주말N수학]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수학동아
l
2023.01.14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통신 길을 열어주지는 않는다.
사막
의 신기루 현상은 뜨거운 여름날 도로 저 먼 곳을 쳐다봐도 흔히 볼 수 있다. 공기의 온도 차이가 빛의 굴절을 만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빛은 중력에 의해서도 휘지만, 대기 밀도 차이로도 휠 수 있다 ... ...
올 8월 '1000경 달러' 보물섬 찾아 NASA 우주선이 떠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시작한 끝에 오는 9월 24일 지구에 도착한다. 오시리스-렉스는 미국 유타 주
사막
에 시료가 든 캡슐을 떨어뜨릴 예정이다. 베누는 물과 유기물, 금속 같은 천연자원과 다량의 탄소도 함유하고 있다. 탄소와 유기물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생명체에 필요한 물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200만년 전 그린란드를 그리다…화석 대신 환경 DNA로 생태계 재현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 화석 아닌 퇴적물에서 200만년 전 DNA 발견 그린란드 북부 피어리 랜드에는 극지
사막
이 있다. 이 지역은 200만~300만년 전 지금보다 11~19도 더 따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척추동물 화석이 발견되는 사례가 드물어 당시 서식했던 생물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다. 빌레르슬라우 교수팀은 ... ...
[프리미엄리포트]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12.03
beg again and again)”고 말했다. 미국에 있는 장기선 간섭계(VL A)와 칠레 아타카마
사막
에 있는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 집합체(ALMA) 관측소 등에서 요청을 받아들였다. 연구팀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5월까지 AT2018hyz 전파를 추가로 관측할 수 있었다. 추가 관측 결과는 뒤늦은 전파 방출이 ... ...
몽골서 '다이빙 새' 닮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2.12.02
추정되는 이 공룡은 후기 백악기인 7천200만∼7천100만 년 전 호수 등 민물 지대였던 고비
사막
일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Communications Biology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공룡이 골격은 전형적인 수각류 육식 공룡이지만 갈비뼈가 잠수하는 새처럼 꼬리 쪽으로 향해 유선형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