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수
뉴스
"
배나무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멸종위기 '세계 최대 거인나무', 영국서 새 보금자리 찾나
연합뉴스
l
2022.02.14
자이언트 세쿼이아, 산불·가뭄으로 북미에서 200년 만에 98% 사라져 키 91m로 탄소 배출 절감에 뛰어나…영국 서부지역이 대안 불타는 자이언트 세쿼이아. APF 연합뉴스 제공 '평화로운 거인'이라는 별명의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종인 자이언트 세쿼이아가 미국을 떠나 영국을 새로운 보금자리로 삼 ... ...
도심의 나무 건강 위해 밤에 LED 조명 일찍 꺼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산림과학원 연구팀이 도심 LED 조명의 영향에 따른 나무의 야간 호흡량을 측정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전국의 식물원과 캠핑장, 도심 조경용 나무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 야간 조명이 나무 생장을 방해하는 빛 공해로 작용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LED 조명은 전기를 적게 쓰고 빛 밝기가 ... ...
국립산림과학원 "나무 설치 LED조명, 생장에 피해 줘…제한해야"
연합뉴스
l
2022.02.09
"나무 건강 위해 야간조명 노출시간 6시간 이하로" 가로수 야간 LED 조명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도심 지역이나 관광지 등의 나무에 설치된 야간 조명이 나무에 빛 공해로 작용할 수 있어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 야간에는 6시간 이하로 조명을 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산림청 국립산림과 ... ...
AI로 숲속 새소리 구별한다…구글, 뉴럴 네트워크 개발
연합뉴스
l
2022.01.28
"새는 숲의 건강성 지표…대형 산불 뒤 딱따구리 많아졌다는 것 파악" 검색엔진 업체 구글이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숲에서 지저귀는 새소리로 그 새의 종류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숲에서 녹음한 원본 음성 파일과 이를 세 가지 새소리로 구분한 음성. 구글 제공 세계 최대 검색엔 ... ...
[대선 후보 과기정책]이재명 "과기부총리제 부활·달 착륙 완성"…"박정희 리더십도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2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과학기술 정책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해 12월 22일 과학기술혁신 부총리제를 도입하고 2030년까지 달 착륙 프로젝트를 완성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7대 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바다 위로 막 태양이 떠오른 직후의 지구. NASA 제공 환경 저널리스트 마크 라이너스의 책 《최종 경고: 6도의 멸종》 한국판이 최근 출간됐다. 라이너스는 수많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지구 평균 온도가 1도씩 오를 때마다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각 장 별로 그리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설치류의 한 종류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뜀토끼가 빵을 갉아먹고 있다. 여기에 빛을 쪼이자 갈색이던 털이 붉은빛에 가까운 강렬한 분홍색 형광을 내기 시작했다. 미국 노스랜드대 연구팀은 남아공 뜀토끼의 생물형광을 발견해 올해 2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 ...
산업화로 점점 뜨거워지는 도시들, 2050년 도시인 16억명 폭염 시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콜롬비아 메데인은 주요 도로 곳곳에 수풀을 채우는 '그린 통로' 정책으로 주변의 온도를 4도 낮췄다. 도시기후리더십그룹 제공 세계의 도시들이 급속한 도시화와 열섬 효과로 세계 평균의 두 배 속도로 뜨거워지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지하면 2100년까지 전 세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마다 노벨 과학상은 3일에 걸쳐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순서로 발표된다. 그런데 대중과 언론의 관심은 갈수록 떨어지는 것 같다. 올해 노벨상이 전형적인 예로 첫날 노벨생리의학상 업적인 온도수용체와 촉각수용체 발견에 대해서는 꽤 흥미를 보였지만 둘째 날 노 ... ...
[표지로 읽는 과학]6배 강하고 잘 휘는 2차원 목재 소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2일 목재를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만든 구조물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목재는 다른 재료보다 강하면서도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복합재다. 쉽게 썩고 폐기물 문제도 덜해 환경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문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처럼 실생활에 쓰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