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동체
트렁크
구간
신체
체격
전신
뉴스
"
몸통
"(으)로 총 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살아있는 화석"으로 알려져 왔다. 1938년 남아프리카 연안에서 처음 건져 올린 물고기의
몸통
이 약 6천500만년 전 공룡과 비슷한 시기에 멸종한 것으로 추정돼 온 화석 기록과 거의 똑같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듯한 비슷한 외형과는 달리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실러캔스 ... ...
손톱 크기 '나노 카멜레온' 세계서 가장 작은 파충류 '도전'
연합뉴스
l
2021.02.02
몸통
대비 생식기가 가장 큰 카멜레온 종은 브루케시아 투베르큘라타(B. tuberculata)로
몸통
의 약 3분의 1에 달했다. [사이언티픽 리포츠 논문 캡처] 연구팀은 몸집이 큰 카멜레온 종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크지만 나노 카멜레온과 같은 작은 종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작아 성공적인 짝짓기를 위해 ... ...
얼굴만 까만 강아지
팝뉴스
l
2021.01.22
한 유머 사이트에 공개된 영상을 보면, 강아지는 머리만 까맣다. 검은 머리통과 하얀
몸통
은 이질적이어서 조작 이미지 같은 느낌은 준다. 그러나 영상을 여러번 봐도 분명히 실존하는 강아지인 것이 분명하다. 얼굴만 까만 강아지는 해외 네티즌들은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 ... ...
골프장에서 싸우는 악어들
팝뉴스
l
2020.12.14
물밖으로 나오더니 서로를 보며 맴돌다가 달려들어 싸우기 시작했다. 서로를 물었고
몸통
과 꼬리를 뒤흔들었다. 비명같은 소리도 냈다. 골프를 치러갔던 사람들은 뜻밖의 공포체험을 하게 되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독도 바다에 희귀 열대 어종이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KIOST) 제공 불빛을 비추자 바위틈으로 몸을 감춰 쉽사리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긴
몸통
에 달린 앙증맞은 지느러미를 힘차게 움직여 요리조리 방향을 바꿔서다. 꼬리에 있는 3개의 노란 둥근 반점이 눈에 들어온다. 아열대성 희귀 어종인 ‘부채꼬리실고기’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독도 ... ...
"장수풍뎅이 날개 원리규명…충돌해도 추락않는 비행로봇 개발"
연합뉴스
l
2020.12.06
접히면서 충격을 흡수한 뒤 계속 비행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 장수풍뎅이가 비행 중
몸통
이나 날개 접힘부 안쪽과 장애물이 충돌하면 장애물을 다리로 잡고나 추락하지만(그림 A, C, D), 접힘부 바깥쪽과 충돌하면 날개가 접히면서 충돌 충격을 흡수한 뒤 바로 날개를 펼쳐 자세를 재조정해 비행을 ... ...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
과학동아
l
2020.12.01
실제 물고기도 같은 전략을 사용하는지 금붕어 실험으로 알아봤다. 금붕어가 눈과
몸통
양쪽의 촉각기관(측선)으로 서로의 움직임을 확인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금붕어가 헤엄칠 때에도 뒤따라가는 물고기가 앞서가는 물고기가 만든 소용돌이에 움직임을 맞추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금붕어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 이사한 사막거북 166마리 누가 잘 생존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1.29
거북이는 모하비 사막과 미국과 멕시코 국경 사이에 걸친 소노란 사막에 사는 생물이다.
몸통
길이가 보통 25~36cm, 키는 10~15cm 정도다. 다 자란 성체의 경우 무게가 5kg가 나간다. 체온을 조절하고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굴이나 돌 아래 그늘에서 보낸다. 비가 내린 후 가장 ... ...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과학기술연구소 교수팀은 지난 1월 아르헨티나 개미들이 스스로 제거하기 힘든
몸통
뒤에 달린 곰팡이를 서로 제거해준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생태학 레터스에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개미들이 해당 곰팡이에 대한 항체를 가지게 된 것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런 사회적 협동이 감염병 ... ...
국산 첫 임상 바이오 소재, 국내서 검증 못해 해외 실험실 전전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환경은 완전히 다르다. 예를 들어 몸속 뼈는 뼈 내부로만 피가 흐르고 중력과 다른
몸통
의 하중을 견디는 환경에 놓여 있다. 연구팀은 이를 따라해 세포를 위아래로 긴 튜브 속에서 키우고 뼈 속에 피가 흐르듯 세포 성장에 필요한 액체가 튜브 위아래로 흐르도록 했다. 그 결과 바이오리액터에서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