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3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블랙홀이 블랙홀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 실마리라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허블
망원경
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오메가 센타우리 성단에 있는 별 7개의 속도가 성단의 탈출속도 이상으로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같은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중심에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주목한다. 태양광 패널은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자외선과 적외선은 반사하기 때문에 이를
망원경
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발전한 문명에서 활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다이슨 구체'를 감지하려는 시도도 있다. 다이슨 구체는 태양을 둘러싸는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활용하는 미래 기술이다. ... ...
'썩은 달걀 냄새' 나는 외계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기대된다. 광웨이 푸 미국 존스홉킨스대 물리학 및 천문학과 연구원팀은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JWST)으로 외계 가스 행성인 'HD 189733b'의 대기 성분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2005년 처음 발견된 HD 189733b는 태양계의 목성만큼 거대한 외계 가스 행성이다.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있다. 유럽우주국(ESA)은 사상 최초로 우주 공간에서 저주파 중력파를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
인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리사(LISA)’를 2025년부터 구축하기 시작한다고 올해 2월 공표했다. 이 연구원은 "블랙홀 진화 시나리오, 우주 초기의 원시 블랙홀이 생성하고 합쳐지는 시나리오 등 우주에 ... ...
국내 연구진,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해 블랙홀 생성 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밝혔다. 연구결과는 내년부터 수행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적외선 전천탐사 우주
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미션에서 중간질량 블랙홀을 찾고 블랙홀 기원을 밝히는 데 기준이 될 전망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크기에 해왕성 질량 가진 '팝콘 행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9
낮은 밀도를 갖게 된 원인을 찾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다. 과학자들이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JWST)을 사용해 팝콘 행성의 이같은 특성의 비밀을 풀어냈다. 루이스 웰뱅크스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 연구팀은 JWST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와 중적외선 관측 장비(MIRI)로 얻어낸 ... ...
역대 최고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견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호주, 조지아, 중국, 아랍에미리트의 연구자들이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망원경
에는 광자를 감지할 수 있는 검출기가 담긴 18개의 유닛을 구슬처럼 엮는 800m(미터) 길이의 ‘끈(String)’이 달려 있다. 고에너지를 가진 우주 입자가 지구의 대기 등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전하를 띤 입자 ... ...
우주 여명기, 합쳐지는 '퀘이사 쌍'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희미한 물체 카메라 및 분광기(FOCAS)'와 마찬가지로 하와이에 위치한 북부 제미니천문대
망원경
의 '근적외선 분광기(GNIRS)'를 사용해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두 천체는 각각 태양 질량의 1억 배에 해당하는 초대형 블랙홀로 이뤄진 퀘이사로 밝혀졌다. 두 은하의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관측하는 데 최적화됐다. 이번 연구는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의 이같은 장점을 우주
망원경
첨단외은하조사(JAD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1년 간격으로 관측한 여러 장의 이미지를 비교해 관측된 밝기가 달라진 물체를 확인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현상은 ... ...
우주 쓰레기가 우리 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과학동아
l
2024.06.08
물체 감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나라는 미국밖에 없습니다. 미국은 전 세계 30군데에
망원경
과 레이더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하늘을 스캔하며 물체를 찾아내고 있죠. 새로운 물체를 발견하면 해당 물체의 궤도를 추적하고 추가 관측을 합니다. 한국과 같이 자력으로 탐지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