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벨트
줄
끄나풀
밴드
리본
허리띠
뉴스
"
띠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키트에 떨어뜨리면 안에 있던 바이러스(항원)가 항체에 들러붙으면서 15분 안에 선명한
띠
로 나타난다. 어떤 병원체를 검출하느냐에 따라 정확도가 조금씩 다른데, 지카바이러스나 뎅기열바이러스는 92~93%에 이른다. 연구단은 바이러스(항원)에 대한 항체를 개발하고 그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숫자가 중요하지 않은 연구에 집착하고 있었다. 초파리 유전학자들은 염색체에 새겨진
띠
의 패턴을 연구해서 유전자를 염색체 상에 배열하고 있었고, 인간 유전학은 초파리 유전학에 비하면 최첨단 학문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렇게 많은 연구자가 연구하고 있지도 않았다. 염색체 숫자를 3 ... ...
문학 예술 넘나드는 '놀라운 수학 선생님'
수학동아
l
2019.05.15
수학 교사들이 있다. 수학 작품 만드는 '제주도 다빈치' 김영관 교사 '잘린 뫼비우스
띠
'를 들고 있는 김영관 교사. 이 작품은 세화중에 와서 3D펜을 섭렵하고 학생들과 3D 펜으로 선을 하나씩 그어 만든 작품이다. 여러 색을 섞어 쓰며 색채 감각까지 키울 수 있다고 한다. 사진 유승민 화려한 ... ...
[600호 맞은 과학과 기술]표지로 본 한국 과학기술史 50년…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국내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다. 이밖에 2008년 2월호는 과학기술부가 적힌 빨간
띠
를 가위로 자르는 사진을 표지로 게재해 당시 과학기술부를 폐지하고 교육인적자원부와 통합하며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되며 불거진 논란을 자세히 다뤘다. ● 일러스트에 4차산업혁명과 신기술 반영한 표지 ... ...
대안화폐로 떠오른 똥본위화폐 전시회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김순임 작가와 이보배 디자이너도 참여했다. 구 연구원은 3D 프린팅을 이용해 뫼비우스
띠
형태의 구조물인 ‘하이퍼 커넥티드 소사이어티’란 작품을 만들었다. 이 작품은 수세식 변기로 인한 수질오염과 똥본위화폐를 통한 변화의 가능성을 표현했다. 김등용 작가는 지금껏 불편하고 가치 없는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대부분 나방에서 관찰되는 구조로 여러 개의 털이 단단히 뭉쳐 만든 강한
띠
를 지지대 속에 끼워 넣는 강력한 연결 방식이다. 날개가시로 무장한 박각시 나방은 시속 50km 이상으로 날 수 있는 비행의 명수이면서 공중에서 정지 상태로 비행(hovering) 할 수 있다. 때때로 벌새가 나타났다고 오해하곤 ... ...
[두통인구 100만명]① 취업난·스마트폰 과용 시대의 그늘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보니 두통 환자도 많아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긴장성 두통은 대개 머리에 압박
띠
를 두른 것처럼 전체적으로 통증이 느껴진다. 스마트 기기도 두통 환자를 많아지게 한 주범으로 꼽힌다. 김 교수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목을 오랫동안 숙이거나 누워서 젖히는 등 잘못된 ... ...
기후변화로 난민 속출한 사하라 남부에 450조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모리타니 남부에서 말리 중부, 니제르 남부, 차드 중남부까지 아프리카 대륙을 두르는
띠
모양으로 이어져 있다. ‘녹색의 주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사헬 지역은 유목민들의 주 거주지였다. 하지만 가뭄이 약 30년 동안 지속돼 사막화 문제로 식수와 식량이 부족해졌다. 그로 인해 5억명이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급격히 줄어들고 멸종되어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가볍게 들리지 않는 이유다.
띠
무늬우묵날도래 애벌레 기관 아가미(SEM) 살충제와 오염 물질로 생성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산성비의 형태로 지표로 내려와 광범위한 지역의 호수와 강을 산성화 시켜 생물을 죽게 하고 결국에는 독성효과를 ... ...
[주말N수학] 새로운 도형의 등장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02.02
일정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
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
를 비틀어 양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마찬가지로 안과 밖의 구별이 없습니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의 활용 분야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