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후
동안
뉴스
"
동안기후
"(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험난한 '뉴스페이스'…위성영상 분석 스타트업 'SIA' 30% 구조조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SIA가 개발한 기상 기후 변화 예측 솔루션 ‘웨더오(WeatheO)’ 이미지. SIA 제공 위성영상 AI(인공지능) 분석 스타트업 '에스아이에이(SIA)'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SIA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분 투자한 위성 체계 개발·수출 기업 '쎄트렉아이'의 자회사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SIA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안정성 커지는 지구촌 먹거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모리타니의 누아디브 항구에 정박한 수많은 어선들의 모습을 실었다. 모리타니에서 두 번째로 큰 수출품인 문어를 잡기 위한 어부들의 배가 대부분이다. 최근 모리타니 정부는 포획되는 문어량이 급증하면서 매년 2개월 동안 어업을 중단한다 ... ...
산샤댐 녹조 오염 발견·세월호 인양 지원…33년 성과 남기고 퇴역하는 '이어도호'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26일 퇴역한 한국의 해양탐사선 이어도호가 항구에 정박해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2008년 파랗고 빨간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녹조류와 적조가 제주도 서남쪽 해역, 한국 관할의 북부 동중국해역에서 발견됐다. 세계 최대 규모의 댐인 중국 산샤댐 건설에 따른 동중국해 해양환경 영향연구를 ... ...
공룡이 최고 포식자 된 이유, 구토·배설물 화석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쥐라기 초기 양치류를 먹는 용각류 공룡의 상상도. Marcin Ambrozik 제공 과학자들이 공룡의 구토물과 배설물 화석을 분석해 공룡이 어떻게 고대 생태계의 포식자가 됐는지 밝혀냈다. 화산 활동이 증가하고 환경이 변화하면서 초식 동물이 다양화, 대형화했고 이를 먹이로 삼는 거대한 육식 공룡이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11월 24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COP29 폐막 회의에 참석한 무크타르 바바예프 의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1세기가 시작됐을 때만 해도 필자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은 선진국에 달렸다고 생각했다. 1인당 배출량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 ...
2040년 더 강해진다…"열대야 몰고온 한반도 바다 고수온, 내후년 끝날듯"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지난 8월 15일 밤, 열대야가 계속되고 있는 반포대교 아래에서 시민들이 분수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양식장 어류 1억 마리 이상이 폐사한 원인으로 지목된 한반도 바다 고수온 현상이 수년 내로 끝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한반도 바다 고수온 재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2040년경에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과학동아 제공 9월 27일 금요일 새벽 캐나다 앨버타주 북부의 작은 도시 그랜드 프레리. 인구 6만 4000명의 도시에 30시간 걸려 도착한 이유는 이곳에 있는 '필립 J. 커리 공룡 박물관'의 연구자들과 화석 발굴 현장을 방문하기 위해서였다. '고생물학 선진국' 캐나다는 어떻게 공룡을 연구할까. 이동거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과학동아 제공 한국인은 오랫동안 쌀을 주식으로 삼아 왔다. 밥을 먹어야 힘이 난다는 뜻의 '밥심'이라는 단어도 있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벼를 처음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일까. 충북 청주 소로리에서 발견된 볍씨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이 볍씨들은 약 1만 5000년 전의 것으로 이전에 가 ... ...
“트럼프 재당선으로 한미 과학기술 교류 위축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7대 대통령 당선인. AP Photo/Steven Senne 제공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가 재당선되면서 한미 양국의 과학기술 교류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기조는 자국의 첨단기술을 보호하고 글로벌 패권을 유지하는 데 ... ...
산불의 계절 11월…위험 예측, 진압 기술 고도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산간 지방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현장을 촬영한 자료. 위키미디어 제공 2022년 3월 경북 울진에서 시작해 강원 삼척까지 번졌던 초대형 산불은 213시간 동안 이어지며 서울 면적의 약 35%에 달하는 2만923ha(헥타르)를 태웠다. 2021년 양양 사천리를 덮친 산불로 상당한 면적의 산림이 소실된 지 1년도 되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