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뉴스
"
대칭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10년간 힉스 입자 1000만개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12.17
검출돼 표준모형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었다. 표준모형을 넘어선 이론으로 각광받는 ‘초
대칭
이론’에서는 힉스가 하나가 아니라 다섯 가지나 존재한다고 예측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자들에겐 흥분되는 순간이었죠. 관련 논문만 500편가량 쏟아질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이 이 데이터를 둘러싸고 ... ...
의약품 특성 결정짓는 '카이랄성' 눈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동일해 보인다. 하지만 왼손용 장갑을 오른손에 착용할 수 없다. 이렇게 서로 거울상
대칭
이지만 겹쳐지지 않는 특성을 ‘카이랄’이라 한다. 국내 연구팀이 카이랄 관련 새로운 물리 현상을 발견했다. 물질 분석이나 재료 합성 분야에 학문적 진보를 이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 ...
[주말N수학] 단 한번의 기회가 수학자의 길로 인도
수학동아
l
2022.11.19
DB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
과 관련이 깊은 수학 연구 분야인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오늘은 저를 수학자로 이끌어주신 마커스 드 사토이 교수님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 수학자의 길로 안내한 단 하나의 강연 제가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된 건 순전히 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인해 자연물의 비
대칭
성이 방향성을 바꾼다면 모든 생명체의 구성요소도 반대의 비
대칭
성을 보일 것이다. 아마도 새로운 세계가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왼손잡이 셀룰로스와 오른손잡이 혈액 알부민(지금은 왼손)을 지닌 생명체가 어떨지 누가 예견할 수 있을까? 이것은 미스터리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성능 비불소계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제작 후 8시간 정도의 휴지기에 수소 기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듐-소듐
대칭
전지에서 600 사이클, 소듐-알루미늄 반쪽 전지에서 99.67%의 쿨롱 효율을 보여 불소계 전해질에 비해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제공했다. 이번 연구 논문 1저자인 김준욱 KAIST 박사과정생은 "기존 소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신 배리 샤플리스 교수는 2001년에도 비
대칭
촉매반응 (chirally catalysed oxidation reaction)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아 2번 노벨 화학상을 받게 됐다. 참고로 역사상 노벨상 과학분야를 2번 수상한 사람은 모두 5명이 됐다. 마리퀴리 (Maria Curie)는 ... ...
[노벨상 2022] 美 과학자 샤플리스, 2001년 이어 21년만에 노벨 화학상 '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연구교수는 당시 수소화 반응에 대한 연구로 상을 받았다. 비
대칭
금속 촉매를 이용한 비
대칭
수소화 반응과 산화 반응을 개발한 공로였다. 이번 두번째 노벨화학상 수상은 ‘클릭화학’의 기초를 세운 공로다. 클릭화학은 물질의 작은 분자를 빠르게 결합하는 반응을 연구하는 분야다. 마우스를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도움이 된다. 빅뱅 이후 우주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함께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물질만 비
대칭
적으로 남아 현재의 우주를 구성했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하 2300m에 마련된 캐나다 서드베리 중성미자 관측소 ‘스노랩’과 1000m의 일본 도쿄대 우주선연구소 ‘슈퍼카미오칸데’, 1400m의 ... ...
옥스포드대의 '칼리지'를 본딴 해리포터의 '그리핀도르'
2022.09.24
식당의 규모를 키우는 작업을 했다고 한다. 위키피디아 제공 안녕하세요. 서울대에서
대칭
과 관련이 깊은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 연구원입니다. 최근 힘들었던 코로나19 시기를 넘어 2년 반 만에 모교인 영국 옥스퍼드대에 출장을 올 수 있었는습니다. 이번 기회를 맞아 4회에 걸쳐 ... ...
[프리미엄 리포트]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2022.09.09
뼈 덩어리의 차이도 주목할만 했다. 뼈 덩어리의 오른쪽 폭이 더 크고 왼쪽 폭이 작아 비
대칭
인 것은 이 타르키아가 꼬리를 왼쪽으로 휘둘러 때리기 좋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싸우는 방식에도 각자 개성이 있었다 할까. 물리고, 부러지고, 감염되고… 화석에 남은 흔적 미국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