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뉴스
"
다양성
"(으)로 총 92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2024 과학기술외교 아카데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연구결과 보고서인 '무주군의 생물
다양성
'을 발간·배포하고 생물
다양성
정보를 세계생물
다양성
정보기구(GBIF)에 등록하여 국제적으로 개방·공유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생명연구자원의 공유와 활용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2024 생명연구자원 AI활용 경진대회'를 28일부터 10월 3 ... ...
'인류세' 지정 논의가 여전히 중요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2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인류세 개념은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손실, 대기 오염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류세가 과학적 논의와 사회적 인식을 촉진하며 지구의 미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고 말한다. 과학계 뿐만 아니라 ... ...
[사이언스게시판] 기계연 "기계산업에 디지털을 입히다"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소리탐험대는 첫 생물 분야 연구 프로젝트로 거주지 은근 생물종의 소리를 수집해 생물
다양성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총 61팀이 모집돼 워크숍에서 설명·실습을 통해 구체적인 프로젝트 참여 방법을 배울 예정이다. 소리탐험대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로움 증후군' 앓는 식물들,
다양성
은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4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건조한 지역이라는 가혹한 환경 조건이 식물의
다양성
을 감소시킨다는 기존 통념과는 상반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밝힌 식물의 새로운 특성은 식물들이 기후 변화와 토지 이용 심화로 인한 환경적 스트레스 증가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 ...
6번째 대멸종 막기 위한 보호구역은 지구 면적 단 1.2%
과학동아
l
2024.08.17
매우 낮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보존 의무 구역을 다시 지정하기 위해 위해 글로벌 생물
다양성
평가 데이터로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지역을 식별하고 기존 보호구역, 숲·사막 등의 지도와 결합했다. 그런 뒤 보존 의무 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정확한 면적을 인공위성을 사용해 추정했다. ... ...
"물리학은 기초과학인 동시에 첨단과학"…72년만 첫 여성 물리학회장 윤진희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이뤄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다양성
이 앞으로 없어질 것 같은 위기감이 든다. 연구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 연구비’와 소외된 연구 분야까지 지원할 수 있는 ‘블록펀딩’이 가장 크게 삭감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도시 조류가 항생제 내성균 퍼뜨릴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식중독을 일으키는 캠필로박터균의 한 종류인 캠필로박터 제주니균(Campylobacter jejuni)의
다양성
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조류가 농촌 등 사람이 밀집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곳에 사는 야생조류보다 유전적으로 더 다양한 종류의 캠필로박터 제주니균을 보유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백신 불평등, 사망 늘려…"과학계 식민주의 타파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8.11
파이 캐나다 맥길대 교수와 세예 아빔볼라 호주 시드니대 교수는 편집위원회의 인종적
다양성
부족, 저자의 불균형, 영어권 선호 경향 등이 과학 연구와 관련한 국제 형평성이나 정의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기고문을 8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또 현재 과학 연구에 대해 ... ...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
다양성
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어쩌면 CERN이 70년 동안 일궈낸 가장 중요한 업적은 노벨상이나 WWW 같은 연구보다도
다양성
과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국제 협력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준 것인지도 모른다. 과학이라는 공통어로 세계가 소통할 수 있음을 말이다.이제 CERN은 다가올 70년을 준비하고 있다. 과연 1만 7000명의 사람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태계 보고'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400년 만 최고 수온
동아사이언스
l
2024.08.10
대비 1.5°C'로 유지되더라도 전 세계 산호의 70~90%가 사라질 수 있다"며 "미래 산호는 종
다양성
이 줄어든 생태계 구조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doi.org/10.1038/s41586-024-07672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