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뉴스
"
난치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항암제 안듣는
난치
성 뇌종양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뇌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찾을 것"이라며 "뇌종양 외 다른
난치
성 종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면역 치료 저널’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doi.org/10.1136/jitc-2024-00944 ... ...
중증 천식 치료길 열리나…'호중구성 천식' 완화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IL-23 활성 억제제와 특정 세포군인 CD39+CD9+ 대식세포를 통해 호중구성 천식을 비롯한
난치
성 천식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호중구성 천식의 염증 반응을 낮추는 세포군을 발견한 유지환 연세대 의생명과학부 교수, 한승한 의생명과학부 박사후연구원. 연세대 제공 ... ...
[인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급 △희귀
난치
질환연구센터장 김남순 (10월 1일자) ...
28억원에 팔리는 세포·유전자치료제, 국내 개발은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겪으면서 애가 타는 것은 희귀·
난치
병 환자들이다. 이주혁 소아희귀
난치
안과질환협회 회장은 "국가가 지정하는 미래 전략기술에 지정되면서 첨단바이오 연구개발(R&D)에 막대한 자금이 투자되고 있지만 정작 환자들에게 절실한 분야에 대한 예산분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듯 하다"고 ... ...
[추모의 글] 故 이진아 교수,
난치
암 환자를 구하던 작은 거인
2024.09.23
믿음 속에 있다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난치
암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고자 추구해왔던 연구자로서, 과학자로서, 교수로서, 젊은 리더로서 우리에게 동료였고 우상이던 이진아 교수가 암과 투병하다가 유명을 달리하다니 매우 슬프고 애석한 일입니다 ... ...
뇌 표면 밀착 전자패치, 약 안 듣는 뇌질환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실시간 계측할 수 있게 돼 맞춤형 뇌질환 치료기술에 한 발짝 다가섰다”며 “향후
난치
성 신경질환의 정밀 진단 및 개인맞춤형 치료를 가능케 하는 차세대 전자약 핵심기술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실렸다. doi ... ...
DNA가닥 빛으로 구부리고 옮긴다…새 유전자 교정 기술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바꾸는 만큼 교정 과정에서 DNA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희귀·
난치
병을 치료하기 위한 유전자 치료법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교정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치료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미국 프린스턴대는 클리포드 브랭윈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고 논문에 썼다. 정치 전문 언론인에서 의대 의료인문학 교수가 된 노먼 커즌스는
난치
병인 강직성척추염을 극복한 과정에서 플라시보 효과의 힘을 높게 평가했다. NASA 제공 만일 그가 유명 언론인이 아니었다면 '뉴잉글랜드의학회지'가 일개 환자의 회복기를 논문으로 인정해 실어줄 일은 ... ...
방사성 의약품 담는 운송용기 개발…소아암 치료제 수출길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운송 시험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방사성 표지의약품이란 신경모세포종 등 다양한
난치
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보통 방사성동위원소와 체내 전달물질을 결합해 만들어진다. 현재 국내에서 많은 방사성 표지의약품이 개발되고 있지만 식약처 허가를 받아 실제 환자에게 ... ...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모니터링해 체내에서 활용 할 가능성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생분해성 전자 텐트는
난치
성 뇌전증 및 파킨슨병 진단 등 의료계 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며 “미국 뇌공학 기업 뉴럴링크의 뇌 이식 실험에 사용된 BCI 기술을 구현할 때도 기존의 전극 삽입 방식에 대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