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질
성격
본성
천성
체질
성벽
소질
뉴스
"
기질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한 피부세포 다시 젊게 만드는 '세포 역노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시멘트처럼 세포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고 세포 사이를 연결해주는 콜라겐 등 물질(세포외
기질
)을 생산하는 세포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섬유아세포 속 단백질들이 신호를 서로 주고 받으며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모델로 만들었다. 연구팀은 다시 이 모델을 토대로 ‘PDK ... ...
3D 프린터로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 출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연구팀은 우선 식도 조직에서 세포성분을 제거한 뒤 세포외
기질
만 추출해 바이오잉크를 만들었다. 그리고 3D 프린터를 이용해 바이오잉크가 담긴 아령 모양의 스텐트를 인쇄했다. 연구팀이 쥐의 식도에 염증을 일으킨 뒤 바이오잉크가 담긴 스텐트를 식도에 삽입한 ... ...
N극과 S극 마음대로 바꾸는 스마트 자석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자성 입자나 고분자
기질
의 고유 특성을 바꾸지 않으면서도 쉽게 자화 형태 재설계가 가능한 소재를 개발했다”며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유연성도 갖춰 의공학, 유연 전기소자, 소프트 로봇 등 가변 구조형 스마트 소재가 필요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결과적으로는 기존 체계를 허무는 데에 어떤 거리낌이나 주저함도 없이 혁명적인
기질
을 갖고 있지만 그 과정은 대단히 보수적이어서, ‘앙시앵 레짐’으로 버틸 수 있는 데까지 끝까지 버틸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데에도 굉장히 능숙하다. 새로운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이 혹독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뿐 아니라 조직을 이루는 세포 사이에 존재하며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외
기질
’도 해체한다. 밀림을 헤쳐나갈 때 낫을 휘둘러 길을 내듯이 감염 부위로 이동하기 위해 불가피한 조치다. 그런데 호중구가 병원체의 존재와 무관하게 계속 머물며 효소를 분비하니 폐나 기관지 조직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확실성을 대비한 마음 관리법
2020.04.18
불안은 항상 존재할 내 삶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기질
적으로 더 불안을 많이 느끼거나 또는 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 처해있을 수 있다. 이 또한 자신의 탓이 아님을 알자. 불안이 해소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임을 인정하고 자신을 너무 밀어붙이거나 ... ...
바이오잉크 심장패치로 망가진 심장 되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6
붙였다. 주사로 전달할 수 있는 세포의 양이 제한적인 것을 감안해 심장 유래 세포외
기질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패치 형태로 만든 것이다. 이렇게 이식된 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만 이식한 경우보다 몸 속에서 더 오래 살아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살아남은 심근 세포수도 더 많았다. 혈관 형성 ... ...
쓸모없는 지방덩어리, 알고보니 ‘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세포외
기질
을 이용해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은 세포외
기질
에 있던 세포를 모두 제거하고 원하는 세포를 틀에 집어넣어 인공장기나 오가노이드(실제 장기보다 작게 만든 미니 장기) 칩을 만들고 있다. 정봉수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의료신소재TF팀장은 “인체 ... ...
손상된 근육세포 재생 돕는 인공근육 3D프린터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구현된다. 이를 위해 실제 조직에서 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둘러싼 지지체인 세포외
기질
의 방향성을 바이오잉크와 함께 분사된 세포에 부여해야 하는데 아직 적절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금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콜라겐 바이오잉크에 포함된 지방줄기세포가 자라나는 방향을 ... ...
국내 연구진,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 높이는 약물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화학항암제 독소루비신과 면역제어물질을 담아 암세포 주변 다양한 세포와 세포외
기질
, 신호전달물질 등 복잡한 구조인 종양미세환경에 이식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 향상을 시도했다.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생쥐 모델에서 화학항암제와 면역제어물질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