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뉴스
"
국내
"(으)로 총 18,239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한국에 연구자 최대 유출국이자 유입국"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과 연구 경력을 종합적으로 조망한 대규모 실증 연구"라며 "
국내
외 인재 유치 및 유출 대응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자의 이동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설계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과학기술 인력정책 ... ...
6배 정밀해진 '3D 뇌 모사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박사. KAIST 제공. 3D 프린팅 기술로 실제 뇌처럼 층을 이루는 신경세포 구조가 구현됐다.
국내
연구팀이 뇌 신경세포 활동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했다. KAIST는 박제균·남윤기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뇌 조직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저점도 천연 ... ...
유전자 돌연변이 기반 '노인성 고심도 난청' 발병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이비인후과 교수, 최준 고대안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아주 심한 노인성 난청의 유전적 원인을 규명했다. 'HOMER2'란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난청을 유발하는 구체적 병리 기전을 밝혀냈다. 향후 정밀 진단과 유전자 치료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10분이면 약물 '장전' 끝…엑소좀 치료제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exosome)'은 약물을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어 차세대 난치성 질환 치료 기술로 주목받는다.
국내
연구팀이 엑소좀에 mRNA나 단백질 등의 약물을 10분 만에 빠르게 담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호준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김홍남 뇌융합연구단 ... ...
수소·태양·히트펌프 모두 쓰는 스마트팜에서 토마토가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스마트팜과 다를 바 없어 보였지만 이곳의 특별함은 수소 연료전지가 적용된 최초의
국내
스마트팜이라는 점이다. 수소로 생산한 전기에너지와 열을 더해 히트펌프와 태양열까지 모두 활용한다. '친환경'으로 일컬어지는 대표적인 기술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잡은 스마트팜이다. 15일 오후 전북 ... ...
양자컴 실물 영접한 미래 양자 인재들 "기술 발전 실감"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SQCS)도 2020년부터 해커톤과 학생 콘퍼런스 등을 연다. 최근 행사 규모가
국내
양자인 퀀텀코리아 수준으로 큰 것 같다. SQCS는 양자컴퓨팅 기초에 대한 책을 내고 교육 동영상도 제공하는 등 양자인력 육성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Q. 현재 양자컴퓨터의 주요 고객층은 어디인가? "(레자이 연구원)현재 ... ...
식물도 상처 나면 딱지 만들어 회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유전자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식물의 잎이 상처를 회복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향후 작물의 병해 저항성 향상이나 상처 회복력 증진을 위한 기술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이유리 생명과학부 부교수 연구팀이 식물 잎이 손상될 경우 단순한 조직 재생을 넘어 ... ...
신경계 모사한 반도체로 로봇에 '습관' 구현…자극에 효율적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해 에너지 낭비를 줄이면서도 외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한다.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를 기반으로 별도의 복잡한 소프트웨어나 회로 설계 없이도 사람처럼 습관화·민감화가 가능한 효율적인 로봇 시스템을 구현했다. KAIST는 최신현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좌교수팀이 ... ...
양자 터널 안에서 일어난 충돌…전자의 숨겨진 움직임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원자 속 장벽을 통과하며 이동 경로와 에너지를 표현한 시공간 분포 그래픽.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영자 역학의 핵심인 ‘전자 터널링’ 과정의 수수께끼를 최초로 밝혀내고 실험으로 증명했다. 반도체,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의 근간이 되는 양자 터널링 현상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 ...
'황우석'에 갇힌 한국 줄기세포 연구…논문만 있고 치료제는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정비했다. 문제는 윤리 이후 단계다. 줄기세포 분야에 20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국내
한 연구자는 "생산·규제 생태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면 줄기세포 기술은 다시 ‘잃어버린 10년’의 트라우마에 갇힐 수 있다"며 "비용과 규정을 실제로 '반 토막' 낼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