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수치심은 모든 인간이 갖는 본성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인류가 선사시대부터 무리 지어 생활하는 데 수치심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무리 전체에 피해를 끼치면 그에 따른 대가를 ... 무리 생활을 계속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9월 10일자에 실렸다.doi:10.1073/pnas.180501611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난민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 기후변화에 있다는 연구결과를 2016년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하기도 했다.doi:10.1073/pnas.1614342113 연구팀은 과거 100년 동안 시리아의 기온, 해수면, 기압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07년부터 시작된 사상 최악의 가뭄으로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 농민들이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구조를 분석해 분해 효율을 개선하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doi: 10.1073/pnas.1718804115 연구팀은 X선 회절을 이용해 페테이스의 구조를 분석한 뒤, 효소의 활성 부위가 페트와 더 잘 결합할 수 있도록 구조를 조작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페테이스의 ... ...
[과학뉴스] 하마 똥이 아프리카 하천 위협?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하마의 똥에 의한 하천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하마 똥은 수중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되는 일종의 천연 비료다. 하지만 물의 양은 급격히 줄어든 반면, 하마가 물가에 배출하는 똥의 양은 줄지 않는 게 문제다. 키넌 스티어스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세포의 이온농도를 조절하거나 노폐물을 제거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별세포가 소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먼저 쥐에게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다수의 문화’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인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여러 종류의 음악과 이성의 얼굴 사진 여러 장을 제시하면서 매력적으로 느끼는 것을 선택하게 했다. 이후 실험 참가자들이 또래 ... ...
[과학뉴스] 자폐증 일으키는 유전자 ‘삼돌이’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자폐증을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이 확인됐다. 김철희 충남대 생물과학과 교수팀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이 자폐증 유발 유전자를 발굴해 대규모 ... 자폐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1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766311 ... ...
[과학뉴스]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분석하지 않고도 치아 법랑질을 이용해 성별을 알아내는 방법을 찾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2017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니콜라스 스튜어트 영국 브라이튼대 약학및생명분자과학과 교수팀은 ‘아멜로게닌’이라는 단백질이 성염색체의 영향으로 남녀에 따라 아미노산 구성이 다르다는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세포가 그 자리를 차지해 암세포로 발전할 수 있어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온라인판 10월 30일자에 실렸답니다. 아메바: 왕성하게 분열하는 세포를 없애도 기능이 둔화된 세포가 많아져 생물이 빠른 속도로 늙어가요. 다세포 생물은 노화를 피할 수 없고 언젠가는 죽음에 이른다는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때 첫인상은 얼굴의 특정 부위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7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409860111/-/DCSupplemental).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000명의 얼굴에 부위별로 점 179개를 찍은 뒤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캐릭터로 나타냈다. 그리고 다른 실험참가자들에게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