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
재물
금전
금화
화폐
금속화폐
돈
d라이브러리
"
황금
"(으)로 총 665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
열쇠··· 우주여행 티켓만 사면 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우주비행사가 이겨내야 하는 도전 과제들이 만만치 않구나…. 솔직히 난 자신 없는데, 그럼 우주는 평생 못 가는 거야? 아니지? 아니라고 해 줘! 체력이 좋지 않아도, 맘 약해도 우주 가요!곧 일반인도 티켓을 사고 우주에 갈 수 있는 시대가 열려요. 우주여행의 첫 번째 목적지는 지구 대기권과 우주 ... ...
우주에 가고 싶다고? 도전! 우주비행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우주비행사도전1 바다에서 우주 탐사 연습하기 도전2 지상에서 우주 탐사 따라하기
황금
열쇠 우주여행 티켓만 사면 고! 도움★김규상 교수(인하대학교 우주항공 의과학연구소 소장), 이소연(로프트 오비탈 전력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 실라 아리 다고스티노(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연구원 ... ...
'기생충' 생태계 주연배우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칸 영화제에서
황금
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 덕분에 우리 기생충들도 함께 화제가 됐어요. 그런데 이 영화에는 진짜 기생충이 등장하진 않아요. 하지만 생태계에서 우리 기생충은 이미 주연 배우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요. 만약 우리 기생충들이 주연 배우로 영화에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
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교수는 1950년대 세포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존재를 밝힌 공로로
황금
거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로즈 교수는 토끼에서 추출한 갑상선호르몬을 다시 토끼에게 주입해도 항체가 만들어지며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로즈 교수는 AAAS와의 인터뷰에서 ... ...
일상 속 매스메이커의 작품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살펴보자. 사건 발생 치골 부위에서 표피 박탈 확인무더위가 가시고 들판이 점점
황금
색으로 변해가던 가을 저녁, 식사 후 음악을 들으며 잠시나마 여유를 만끽하고 있을 때였다. 정적을 깨고 전화벨이 울렸다. 경북 청도군의 한 병원 응급실에서 변사자가 발생했다는 신고다. 병원에서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하락세를 겪고 있었다. ‘알라딘’ ‘라이온킹’ ‘포카혼타스’ 등이 큰 인기를 누렸던
황금
기가 지나고, 컴퓨터그래픽(CG)으로 무장한 새로운 스타일의 영화들이 쏟아졌다. 게다가 지금은 월트디즈니컴퍼니의 자회사지만 당시엔 별도 회사였던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3D 애니메이션을 ... ...
3차원에도
황금
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후대의 학자들이 이 수를
황금
비라 부르며 자연과 미술, 건축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황금
비를 발견했습니다. 플라스틱 수는 1928년 네덜란드의 건축가이자 가톨릭 수도자인 한스 반 데르 란이 발견한 수입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름다움의 핵심이 얼마나 명료하게 느껴지는지에 있다고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200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우주인 선발 공고가 있었다. 10대 학생부터 중년의 대기업 사장, 생물학 연구원까지 우주를 꿈꾸던 각계각층의 사 ... 문학 그리고 과학 스토리텔링을 가르치고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공저)’ ‘
황금
광시대’ ‘경성기담’ 등 다수의 책을 펴냈다. junbg@kaist.ac ... ...
[오일러 프로젝트] 피보나치 수열 속 1000자리의 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면 고른 수가 클수록 점점 그 값이 1.618에 가까워진다. 일명 ‘
황금
비’라 불리는 이 값을 이용해 18세기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프랑스 수학자 아브라암 드 무아브르는 피보나치 수를 찾는 수식을 만들었다. 후에 이 식을 1843년 자크 비네가 다시 발견하면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