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의회"(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수 있었던 까닭은 대외활동의 중단 때문이다. 1990년대 초까지 그는 수학과, 수학회, 교수협의회 등에서 주요 자리를 역임했다.하지만 첫 손녀의 탄생이 그를 안으로 끌어들였다. 주말이면 손녀를 보는 재미에 중요한 일 외에는 약속을 잡지 않았다. 덕분에 그는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다. 그러다보니 ...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전송, 교환, 수신 모두에서 그 한계에 직면해 있는 상태다.2000년 3월 일본 광전자기술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2010-2015년 미래 통신 네트워크시스템은 기지국 간 장거리 전송망이 한가닥의 광섬유로 10Tbps의 용량을 갖고, 1만km 이상을 증폭기 없이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대용량 지역 ...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역임했다(69~78) 75년 노벨재단 이사로 선임되었으며 77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의학연구협의회 위원장이 되었다구리에 베릴륨을 약 3% 첨가하고 여기에 코발트 · 은 · 니켈 등을 약간 첨가한 합금 크게 나누어 2% 정도의 베릴륨을 함유하는 고력합금과 05% 정도를 함유하는 고력고전도합금 ... ...
- 최장수 여성 장관의 비결은 과학자 경력 김명자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애를 먹었다. 김 장관은 생각 끝에 평소 알고 있던 문인들의 모임인 ‘맑은물사랑실천협의회’에 지지하는 글을 써달라고 부탁했고, 이 글이 주민들의 마음을 움직여 지지로 돌아서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차가운 법령이 아니라 문학적 감성을 갖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감동의 행정이 ...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과학동아 l1998년 11호
- 사실 이 조직의 영문 명칭은 'Kore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즉 '한국과학진흥협의회'다. 노벨상 분위기를 풍기는 단어는 하나도 없다. 공학이나 기술이 아닌 기초과학을 진흥시키겠다는 게 본래의 설립취지다.꼬마 후보자 수준그렇다면 왜 '노벨과학상'이란 용어를 사용했을까. 전무식 ... ...
- 밀레니엄버그 천태만상과학동아 l1998년 05호
-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일까, 속수무책이라는 것일까. 국무조정실의 '2천년 문제 대책 협의회'에서 4월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는 2천년 문제 실태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정부와 기업 등의 2천년 문제에 대한 대응은 지금까지 매우 미온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지어 취재 중 기자에게 ... ...
- 정보고속도로운행증과학동아 l1997년 07호
- 협회는 전문가과정의 3종류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전문가협의회’를 구성, 각종 연구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산업계에 취업시 인사고과에 반영하기 위해 후원사를 적극적으로 구하고 있다. 문의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인터넷인증시험위원회 사무국(02-580-0542 ... ...
- 주경야독 유학으로 키운 엔지니어 꿈 38년과학동아 l1997년 06호
- 화공과, 뉴욕대 대학원 기계공학과 졸. 한국화학공학회 회장, 한국 플랜트엔지니어링협의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철탑 및 은탑 산업훈장을 수상했다. 대학에 입학한지 얼마되지 않아 6.25동란이 발발했다. 모두가 부산 피난길에 오르고, 부산에 마련된 판잣집 대학에서 필자는 공학도의 열정을 ... ...
-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과학동아 l1997년 03호
- 제네바 프로토콜과 함께 아이콘 국제화의 시작이었다.1956년에는 국제그래픽 디자인 협의회(ICOGRADA)라는 연구기관이 생겨나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그래픽 심벌의 연구를 현재까지도 계속하고 있다. 1964년 UN이 ‘심벌의 사용 대중화를 통한 국제협력’을 주창하면서 심벌 사용 계획안을 발표했고, ...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과학동아 l1996년 02호
- 받게 됐다.1980년대 학문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온 곳은 전국과학교사협의회(NSTA). 이들은 "과학·기술·사회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서로의 지식을 이용할 줄 아는 것, 바로 그런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야말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