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존"(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도지만 이론에 따르면 훨씬 커야 한다). 물리학자들이 초대칭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세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풀 수 있기 때문이다. 힉스 입자의 질량뿐만 아니라, 암흑물질의 후보물질을 제시할 수 있고, 자연계의 네 가지 기본 힘(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을 우주 초기 상태에서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주변 세포가 추가로 감염되는 일을 막는다. 하지만 다른 모든 항바이러스제가 그렇듯 현존 치료제에 대해 내성을 갖는 바이러스가 생길 수 있다.이미 2007~2008년 겨울, 전 세계 41개국에서 타미플루 내성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2009년 11월,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에게 하사했다가 그의 후손이 우리나라에 다시 기증한 태극기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입니다. 태극 모양과 ‘건곤감리’라 부르는 4괘의 색깔도 지금의 태극기와 다르답니다. 계산 성당을 지나 이상화 시인의 고택으로 가는 길 위에서도 타일로 만든 태극기와 이상화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열대 지역이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식물 화석과 물고기, 악어, 박쥐, 새, 곤충 등 현존하거나 사라진 수많은 생명체의 화석이 발굴된다. 국립과천과학관에도 그린 강 퇴적지층에서 발굴된 초대형 표본이 전시돼 있다. 커다란 종려나무와 물고기가 함께 화석화된 독특한 표본이다. 500만 년 동안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직육면체 모양을 떠올리지만, 킹덤타워는 과감히 그 모양을 버리고 Y자 모양을 택했다. 현존하는 가장 높은 건물인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도 이 구조다. Y자 형태가 최근 초고층 건물들 사이에서 각광을 받는 이유는 경제성 때문이다.왼쪽 아래 롯데월드타워의 설계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장치다. 40MW급 플라스마 가열 장치를 이용해 현존하는 장치들 중 가장 높은 에너지의 핵융합 플라스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JET는 2019년 대대적인 수소 핵융합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유럽의 핵융합에너지 연구를 총괄하는 유럽연합 컨소시엄 ‘유로퓨전(EUROfusion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신 태조 어진을 만날 수 있습니다.정전에서 만난 세 가지 관문을 모두 넘었나요? 현존하는 어진을 모두 만나기 위해 단 두 관문이 남았습니다. 다음에는 어떤 어진을 만나게 될지 기대해 주세요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오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한옥마을의 경기전 정전으로 들어가면 복도에 현존하는 어진의 모사본이 쭉 걸려 있었고, 태조 어진도 모사본과 함께 있었습니다. 이씨 문중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을 뿐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그런데 2005년 문화재청 국정감사 중 어진의 비단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통해 밝혀냈다.독일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 고생물학과의 크리스찬 포스 박사팀은 현존하는 새와 공룡 뼈 화석을 관찰해 비교했다. 몸길이와 몸무게, 깃털의 길이와 깃털 줄기의 지름 같은 정보를 넣어 수학모형을 만든 것이다. 이 모형의 결과는 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난다. 만약 정체를 알고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최대 3m, 몸무게 최대 70kg까지 자라는 코모도왕도마뱀(Varanus komodoensis)은 현존하는 도마뱀 중 가장 거대하다. 이들은 아래턱에서 독성단백질을 분비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몸집이 큰 독동물인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코모도 섬에서만 서식하는 이들은 독이 섞인 침을 이용해 자신보다 몇 배나 더 무거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