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안"(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전체 속의 부분,부분 속의 전체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많은 수학자를 거쳐 프랙털은 번개나 나뭇가지, 산이나 구름, 해안선의 모양 등 불규칙해 보이는 자연 현상을 프랙털로 표현해 연구하는 ‘프랙털 이론’과 ‘프랙털 기하학’ 등으로 발전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프랙털 구조의 주요 성질은 ‘자기 유사성’과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 있습니다. 이때 지구 반지름 R에 6378.137km를, 울릉도와 독도의 거리(d+d')에는 간조 시 해안선의 최단거리인 87.4km를, 독도의 높이(b)에는 168.5m를 대입해줍니다. 그럼 독도를 볼 수 있는 울릉도의 높이 a는 약 132.02m가 나오죠. 울릉도에서 가장 높은 곳의 높이가 984m이기 때문에 울릉도에서 충분히 ... ...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파도와 같은 방향으로 헤엄치기 시작해요. 충분한 속력이 붙었을 때 보드에 오른 다음 해안선과 나란하게 밀려오는 파도를 지나며 서핑 기술을 선보이게 됩니다. 서핑 보드 바닥에 달린 지느러미 구조인 핀(fin)을 이용하고 몸의 균형을 조정해 보드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올라선 ... ...
- [기획] 도요새의 여행을 쫓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약 1만 2050km를 쉬지 않고 날면 수평선 너머에서 뉴질랜드가 보여요. 지친 4BBRW는 드디어 해안에 내려앉아 쉴 수 있죠.우리 눈에는 대단해 보이지만, 큰뒷부리도요에게는 매년 반복되는 또 한 번의 비행일 뿐입니다. 남반구에 추위가 찾아들면 이들은 내년에도, 그다음에도 계속해서 끝없는 여름을 ... ...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불러요. 큰뒷부리도요와 같은 도요새는 봄과 가을에 우리나라를 지나는데, 서남해안 갯벌이 그 역할을 해요. 그래서 갯벌이 사라지면 도요새가 쉴 곳이 없어지고, 수가 크게 줄어들 수 있어요. 갯벌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랍니다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해안분지가 만들어진 거죠. 화강암은 지금도 변성암보다 빨리 침식되고 있으니, 앞으로 해안분지는 점점 더 깊어질 거예요. ●필자소개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남반구 뉴질랜드에 머무르다, 3월 말이 되면 뉴질랜드를 떠나 4월 초순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갯벌에 도착해요. 이곳에서 30~40일 동안 영양을 보충한 후 5월에 미국 알래스카로 떠나지요. 해가 길어지고 따뜻해져서 먹이를 찾기 쉬운 북반구의 여름 동안 알래스카에 머물면서 번식을 하고, 9월이 되면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정도가 되는데, 이 사이에 중간중간 평탄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충주 분지에서는 하상고도가 37~38m를 유지하며 평탄면을 이룬다.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확장되던 날에도 서 있었다. 방파제가 무너지던 날 남자는 휘청이며 서 있었다. 16차선 해안도로가 개통된 날에도 그는 서 있었다. 남자의 모습이 레이어가 덧입혀지듯 반복됐다. 남자가 늘 입던 등산복은 낡아갔다. 파도는 반복돼 다가온다. 남자의 머리는 어느새 희끗해졌다. 남자는 사라진 방파제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분화 시기를 토대로 한반도 산맥의 형성시기를 추측했다. 그 결과 태백산맥이 형성돼 동해안의 북방종개가 분화한 시기는 약 1130만 년 전으로 나타났다. 생물이 고립된 뒤 적어도 수만~수십 만 년 뒤 종분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태백산맥 형성 시기는 이보다 이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doi: 10.1080/1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