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태어나는 겁니다. 영화 ‘나의 채티에게’를 비롯해 작년 수상작 7개를 각색한 숏필름 7편은 오는 11월 4일 열리는 2023년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에서 최초로 상영될 예정입니다.5분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라는 떡밥을 풀었으면 5분 안에 내용이 정리가 돼야해요. 이것 저것 다 이야기하려는 ... ...
- [일타수맨스] “수학 강의로 감동을 주고 싶어요” 손승연의 인기 비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안 나와서 속상하다는 거였죠. 그 이야기를 듣는데 너무 안타깝더라고요. 그리고 한편으로는 ‘열심히 수학을 공부하는 것 같은데 성적이 왜 안 오르지?’라는 궁금증이 있었어요. 그래서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 그 후배를 비롯해 모의평가 성적이 6등급 이하인 2학년 학생 10명 정도를 모아서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인도에서는 0이나 음수를 도입하는 등 ‘세고 계산하는 쪽’에 특화됐습니다. 한편으로는 새로운 행위가 수학에서 다루는 행위에 포함되면서 수학적 대상이 확장됐어요. 예를 들어 고대에는 여러 사건 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가늠하는 일에 큰 관심이 없었어요. 중세와 초기 근대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초기 조류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아 조류 진화를 복원하는 데 어려움도 있었다. 한편, 시조새가 새들의 유일한 조상은 아니라는 공룡-조류 진화설을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었다. 공룡은 6600만 년 전 대부분 멸종했지만, 벨로키랍토르와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처럼 세 개의 발가락과 속이 빈 뼈를 ... ...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버킷리스트(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 목록)가 있나요? 아뇨. 저는 목표를 크게 정하는 편이 아니거든요. 저는 우연을 믿습니다. 눈앞에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다가 재밌는 게 생기면 방향을 바꿀 뿐이에요. AI가 좋은 예입니다. 2년 전만 해도 AI로 연구할 줄은 전혀 몰랐어요. 가족과 함께 여행을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방법을 토의하죠. 저는 선생님께서 그런 질문을 하실 때 가장 빨리 적극적으로 대답하는 편이에요. Q. 대학 수학 과목은 어떻게 공부했나요? 선형대수학을 배울 때 개념들이 추상적이라서 너무 어려웠어요. 그런 추상적인 개념이 있을 땐 정의를 계속 봤어요. 그 정의에 미지수 x가 나온다면 x에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각하며, 현재 담당한 지식과 정보관리라는 업무 분야도 제 관심사와 잘 맞는 편입니다. 추후에 인류의 역사를 정보처리와 지식생성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는 학술적인 작업을 하고 싶은 바람도 있습니다. 끝으로 독자 여러분 중 학생이 계시다면 과학을 전공하며 미래를 설계할 때 과거의 제가 ... ...
- [SF소설] 완벽한 돌봄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강아지용 원반을 꺼냈다. 이제 덕구와 놀아줄 시간인 거다. ❋김희선소설가. 약사. 장편소설 ‘무한의 책’ ‘죽음이 너희를 갈라놓을 때까지’ ‘무언가 위험한 것이 온다’, 소설집 ‘라면의 황제’ ‘골든 에이지’ ‘빛과 영원의 시계방’, 산문집 ‘밤의 약국’을 썼으며, 젊은작가상, SF어워드 ... ...
- [PEOPLE]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천재가 말하는 영재가 행복해지는 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나이로 필즈상을 거머쥐었으며, 유명한 수학상은 죄다 휩쓴 인물이다. 지금까지 무려 3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고, 18권의 수학책을 썼다. 48세인 지금까지도 왕성하게 연구하면서도 시간을 쪼개 세계 곳곳을 오가며 수학의 가치를 알리는 대중 활동에도 적극적이라 존경을 한몸에 받는 세기의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박사후연구원이 총 80명 정도인데요. 보통 대학교는 10명 내외이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편이에요. 수학의 각 분야에서 최고여야만 될 수 있다는 수학과 교수는 총 7명뿐입니다. 고등연구소에 방문했을 때 만난 헬무트 호퍼 교수도 그중 한 명이지요. 호퍼 교수는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모든 것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