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로
toro
d라이브러리
"
토로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없을 정도다.하지만 박승재 교수는 이런 많은 활동들을 늘 좋아서 한 것은 아니였다고
토로
한다. “책 한권 더 읽고 논문 한편 더 쓰면 더 좋다는 것을 나도 알지요. 하지만 나는 어쩔 수 없이 내 능력의 3분의 1은 공부하고, 3분의 1은 제자들 가르치고, 3분의 1은 국가에서 부르는 일을 할 수밖에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제 캐번디시 부인이 된 마담 마가렛은 세계적인 지적 동료들에게 자신의 견해를
토로
했다.18년이라는 긴 망명생활을 접고 1666년 런던으로 되돌아온 마가렛은 프랑스에서의 지적 경험을 토대로 ‘자연철학에 관한 관찰’을 출간했다. 당시는 과학이라는 용어가 아직 출현하지 않았고, 자연을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때 플라스마가 안정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핵융합 반응이 지속되기 위해서
토로
이달 방향과 폴로이달 방향의 외부 자장과 함께 플라스마 전류에 의해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자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이 토카막 방식 핵융합 장치의 큰 특징이다.물론 플라스마의 안정성이 깨지는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전자석은 자기장을 이용하는 핵융합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토카막에서는
토로
이달 방향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력선 주위로 전자나 이온을 회전운동(사이클로트론 운동)하게 해 붙잡아두는 역할을 한다.플라스마가 안정적으로 진공 용기 안에 갇혀 있도록 하려면 플라스마 전류를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재 세계적으로 물리학과 천문학을 공부하려는 학생들이 줄고있다는 안타까움을
토로
한뒤,“ 우주는 젊은이들이 도전할만한 대상”이라며,“ 더 많은 한국 학생들이 세계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숭실대 강세종 교수는 SPM을 이용한 원자수준의 표면윤곽을 얻기가 현재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
했다.“같은 시료를 두고 오늘 본 SPM 사진과 내일 본 SPM 영상이 다르다. 아니 매번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SPM의 탐침이 단지 원자 몇개로 구성돼 있어 쉽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시간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즐겁다고 했다. 사실 제자들도 지도교수인 박교수가 너무 바쁘다는 것을 불만으로
토로
하지만 이해하기 때문에 목소리를 높일 수 없다고 했다. 제자인 이민우 박사도 “과제가 많고 지도학생도 많기 때문에 세세히 지도해주시기는 어렵지만 제자들에 대해서는 끝까지 챙겨주시는 의리파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특별히 뭔가를 시키지 않고 스스로 연구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다고
토로
한다. 이에 대해 미국의 뉴욕 IBM에서 근무하고 있는 제자 최원경 박사는 “교수님은 철저히 자율적인 연구를 강조하세요. 그냥 시키는 것이 익숙한 학생에게는 더 어려운 일이 될지 몰라도 다르게 보면 자신이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타기 위해 꾸며낸 것처럼 여겨졌다. 정확한 진위를 알 수는 없지만, 당시 사람들이
토로
한 증상을 보면 오늘날의 PTSD와 매우 유사하다. 철도 사고로 인해 쇼크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그들은 혈액 순환과 호흡계, 신경 계통에 장애를 보였고, 심한 우울증에 시달렸다. 철도 회사를 상대로 배상을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않는다. 이교수도 그 시기가 자신에게 제일 힘들었지만 가장 열정적인 시기였다고
토로
한다. “밤을 새운 날은 수두룩하고, 보통 3-4시간만 잤죠. 그때 논문을 많이 쓴 것 같아요. 악이 받쳤다고나 할까요”하면서도 당시에 열심히 했기에 KAIST에 교수로 부임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하늘은 스스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