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촛불"(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5호
-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그림자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와 위치, 촛불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의 그림과 같이 ❶번 외계인의크기는 80㎝, ❷번 외계인은 1m, ❸번 외계인은 80㎝, ❹번 외계인은 1m 20㎝로 ❹번 외계인이 가장 크다. 오른쪽 그림에서 한 칸의 크기는2 ...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과학동아 l2004년 12호
- 핼러윈 데이 축제의 대표적 상징은 호박의 속을 파고 도깨비 얼굴 모양으로 만든 뒤 안에 촛불을 켜 놓은 ‘잭 오 랜턴’(Jack O’lantern)이다. 옛날 아일랜드에 잭이라는 술주정뱅이가 살고 있었는데, 어느날 술집에서 잭 앞에 그의 영혼을 데려가겠다는 저승사자가 나타났다. 잭은 저승사자에게 술을 ...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이런 특성은 사이버 공간에 올라간 한줄의 메시지가 수천, 수만의 사람들이 모이는 촛불시위로 나타나기도 하고 우연히 올라간 사진 한장이 얼짱, 몸짱 열풍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나타니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 정체성 연구의 시험무대 한편 이미지로 표현된 정체성은 집단 심리형성에도 영향을 ...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과학동아 l2004년 06호
- 공기가 많이 팽창해 공기 분자 사이의 간격이 더 멀어진다. 이때 비커를 덮으면 3개의 촛불을 켠 비커 속 공기의 입자수가 가장 적어지고 기압도 가장 낮아진다. 즉 비커 밖의 대기압과 비교해서 기압차가 가장 크다. 결국 기압 차이만큼 수면이 상승하므로 양초의 수가 많을수록 수면이 높아지는 ...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과학동아 l2004년 03호
- 순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져 성능이 지금보다 1백배 이상인 반도체도 생산할 수 있다. 촛불도 길쭉하지 않고 동그란 모양이 되며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금방 스스로 꺼진다. 이런 현상을 바탕으로 연소 연구를 하면 자동차나 보일러 엔진의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뿐만 ... ...
- 촛불이 돌리는 미니 회전목마과학동아 l2004년 02호
- 되는 것이다.한편 촛불의 불꽃 모양이 뾰족한 이유도 이런 대류현상 때문이다. 즉 촛불의 열 때문에 뜨거워진 공기가 위로 계속 올라가면서 주변의 공기가 불꽃 아래로 모여들기 때문에 불꽃 모양이 위쪽을 향해 뾰족해지는 것이다.그러나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대류현상이 나타나지 ... ...
-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전나무 한그루를 집안에 들여서는 촛불을 매달아 치장을 했다. 물론 요즘은 전구가 촛불을 대신한다.우주에도 크리스마스 트리가 있다. 별명도 크리스마스 트리성단이다. 독일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1783년 영국 베스에 있는 자신의 천문대에서 발견한 천체다. 정식 명칭이 NGC2264라 ... ...
- 불지 않고 촛불 끄는 구리의 마술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뚝딱 실험 1 양초로 쓰는 편지■ 왜 그럴까?!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지만 물과 알코올은 잘 섞인다. 물과 알코올은 극성이고 기름은 무극성이기 때문이다. 즉 극성물질은 극성물 ... 가열된 구리전선은 불꽃의 열을 빼앗지 못하기 때문에 촛불 바로 위까지 가져가도 촛불이 꺼지지 않는다 ...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우산이란 빛을 가리되 너무 어둡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본다. 또 어두우면 빛을 비추되 촛불처럼 중심 부위와 주변 부위의 차이가 큰 빛보다는 숯불처럼 넓은 부위가 비슷하게 밝은 빛을 권한 것이리라.2.독극물 검사의 경우증 독을 먹고 죽은 것을 검험할 때는 은비녀를 사용하는데, 조각수 ...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둥근 공 모양이다.촛불이 발명된지는 수천년이 지났지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촛불이 타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바람을 살살 불어주면 불꽃이 강해지지만 훅 불면 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연소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가장 단순한 조건에서 실험해야 한다. 즉 연료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