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으)로 총 2,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내 최애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소통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일부를 팬이 결정할 수 있게 됐어요. 팬 커뮤니티 ‘마이바이어스’에서는 DAO(탈중앙화 자율조직)를 기반으로 2020년에 데뷔한 걸그룹 STAYC를 서포트하기도 했어요. DAO란 의사 결정 모임으로, DAO에 참여한 사람들은 어떤 사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투표를 진행할 수 있어요. DAO의 의사결정권은 NFT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우리 역사·문화를 만지고 즐겨요! 국립중앙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6월 2일, 5명의 어과동 독자 기자와 매니저 리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초청을 받아 출동했어요. 어린이박물관에서 상설전시 ‘아하! 발견과 공감’과 어린이날 100회 특별전시 ‘모두가 어린이’에서 문화재 속 과학을 체험하고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전시를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예로 AI가 이미지를 인식하는 학습 기능을 수행할 때, 예전처럼 대량의 학습 데이터를 중앙의 클라우드로 전송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AI 장치와 인접한 에지 클라우드에 수많은 정보를 나눠 저장한 뒤, 각각의 에지 클라우드에서 정보를 처리하면, 이것을 전송받아 학습 을 진행하면 되기 ...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뿌리가 박혀 있고, 줄기와 연결된 잎과 꽃은 물 위에 떠 있죠. 일반적으로 수련의 잎은 잎 중앙을 향해 V자 모양 홈이 파인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가 20cm 정도입니다.수련의 꽃은 보통 낮에만 피어 있고, 밤이나 흐린 날에는 꽃잎이 오므려져 닫힙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밤에 잠을 자는 연꽃이라는 ... ...
- [기획] 필즈상 수상자도 깜짝 놀랐다! 고3이 정수론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수학자도 못 푼 방식으로 카마이클 수에 관한 문제를 증명했어요. 정말 멋진 연구입니다.”- 제임스 메이나드 - 다니엘 라슨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1학년 학생이 고등학교 3학년 때 정수론의 30년 묵은 난제를 푼 사실이 알려져 화제입니다! 2022 필즈상 수상자인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무대 중앙 화려한 의자에 앉은 광대 ‘플뢰르’가 선왕의 죽음으로 울고 있어요. 그 주위로 귀족들이 모여들어 대화를 합니다. 이어 흰 원피스를 입은 가수가 슬퍼하는 이들을 위로하는 희망의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요. 무슨 상황이냐고요?이곳은 시선을 사로잡는 묘기로 가득한 세계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수학동아 l2022년 11호
- 구를 만들 수 있는 것이지요. 구를 이루는 각 점의 방향이 위쪽, 아래쪽, 오른쪽, 왼쪽, 중앙 중 무엇이냐에 따라 각각 구를 쪼개면, 마치 처럼 구를 여러 개로 늘릴 수 있습니다. 단, 이 과정에는 미묘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과정은 무한히 많은 대상 중 A로 시작하는 단어의 모임, ... ...
- [SF소설] 블랙홀 뺑소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없었다. 이제는 주변 사물마저 이상하게 보일 지경이었다. 의자가 작은 행성처럼 보였고, 중앙 탁자는 항성처럼 뜨겁게 느껴졌다. 정신을 차려야만 했다. 협상은 기세였다. 모든 상황을 파악한 것처럼 보여야 했다. 테이블에 앉아 다리를 꼬고서 이야기를 이었다.“말도 안 됩니다. 수용할 수 없어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천문대 갖고 싶어? 직접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원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추가해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좌표의 중앙에 있는 y좌푯값이 바뀌는 것에 주의하세요. ➏ ‘블록-블록 채우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을 ‘석영’으로 바꾸세요.➐ 좌푯값을 화면과 같이 작성하세요. ➑ 옵션을 ‘파내기’로 바꾸어 지지대의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실험이재승 연구위원과 김성현 선임기술원의 안내를 받아 예미랩을 구석구석 둘러봤다. 중앙 통로 양옆에 거대한 굴이 늘어선 모습이 거대한 개미집에 들어온 것 같았다. 김 선임기술원은 “땅을 판 다음 콘크리트에 물을 섞어 분사해 벽을 만들었다”며 “벽에 흰색 특수페인트를 발라 미처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