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연
주역선생
선생
주연주자
주연 배우
d라이브러리
"
주역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끝난다고 미래를 예측한 것입니다.지난 2000년, 미국의 과학자 테렌스 메케나는 중국
주역
의 점괘를 수리적으로 분석해 함수로 나타내 보았더니 2012년 이후의 그래프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우리의 상상을 자극해 영화 ‘2012’와 같은 이야기를 만날 수 있게 했습니다. 2009년에 감독 롤랜드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일상에서 느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이다.미국 카우보이 몰락시킨
주역
은 철조망매일 아침 한 잔의 커피를 마시려면 바닐라 시럽과 뜨거운 우유거품, 그리고 근사하게 볶은 원두에서 뽑은 에스프레소와 캐러멜 시럽 외에도 종이컵이 꼭 필요하다. 종이컵은 한 평범한 대학생의 ... ...
매스큐브와 함께 수학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21세기는 기발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국가 경쟁력인 시대예요. 이에 발맞추어 미래의
주역
인 학생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수학을 배워야 합니다.그러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누구나 어려서부터 신기한 물건이나 장난감을 좋아합니다. 이런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놀이를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반도체 성능 1000배 높이는 비법플라즈몬파는 반도체 성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주역
’으로도 평가받는다. 현재 반도체칩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할 때 쓰이는 전기신호 대신 플라즈몬파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금속선 대신 광신호를 전달하는‘광도파로’로 칩을 연결할 경우 빛의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한국이 세계 36번째 우주인 배출국이 되는 순간이었다.인류의 우주 기술 진보를 이끈
주역
은 미국과 구소련이었다. 이념 대결을 통한 국가 역량의 결집이 없었다면 1960년대에 달에 인간이 발을 딛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다.하지만 최근 들어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유럽은 물론 인도와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생겼을 때 관상감 관리들은 그에게 자문을 구하곤 했다. 말년에 김영은 가난하게 살면서
주역
연구, 수학과 과학에 관한 연구에 전념했다. 안타깝게도 1817년 대기근이 들었을 때 굶어죽었다. 이때 그의 연구 자료와 논문은 누군가가 훔쳐갔다는 얘기가 전한다.신고식에 참여한 조선 천문학자 ... ...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주변에서 얼마든지 에너지로 변신할 수 있는 것들이야말로 에너지 왕국의 미래를 이끌
주역
이 아닐까요? 그러니 이제 제가 찾은 후계자들을 만나 보십시오.우리가 먹는 콩, 옥수수 같은 곡식과 해초를 비롯해 목재, 미생물 같은 생물자원이 에너지로 변신한다는 걸 아십니까? 바이오연료로 불리는 이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공식 발표했다. 처음으로 지구 이외의 천체에서 물이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은
주역
은 탐사로봇 ‘피닉스’다. 피닉스는 2008년 5월 25일 화성 북위 68° ‘바스티타스 보레알리스’ 지역에 착륙한 뒤 10월 현재까지 땅을 파고 토양을 분석하는 임무를 계속하고 있다. 피닉스는 로봇손으로 채취한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유용한 새로운 물건이나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인류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주역
이란 말이오.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 문명은 수많은 발명이 쌓여 이루어진 거라오. 자, 내 설명을 잘 들어 보시오.사람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문명의 기초를 쌓을 수 있었다. 지렛대와 바퀴의 발명은 사람이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큰 인기를 끌었고 고세균은 분류학자를 성가시게 하는 천덕꾸러기에서 생명진화의 핵심
주역
으로 탈바꿈했다.그런데 어떻게 온화한 환경과 산소를 좋아하는 진핵생물이 극단적인 환경을 좋아하고 산소를 싫어하는 고세균과 이처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을까. 최근 분자진화학 연구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