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사"(으)로 총 5,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2100년 우리나라 해수면은 47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해양조사원의 연구 결과에서 눈에 띈 부분은 동해가 서해보다 해수면의 상승 폭과 상승률 모두 더 높았다는 점입니다. 2100년까지 서해는 최대 80.8cm, 동해는 82.2cm 오를 것으로 예상됐지요. 이유는 바닷물의 흐름, ... ...
- 위해 물품 찾았다멍! 탐지견 훈련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물품을 탐지하는 임무가 탐지견들에겐 놀이예요.” 임무에 성공하면, 핸들러(탐지 조사요원)는 탐지견이 좋아하는 물건으로 즐겁게 놀아주는 보상을 줘요. 알파는 큰 몸집에 늠름한 외모를 지녔지만, 사람을 매우 잘 따르는 친화적인 모습이 눈에 띄었어요. 김동규 훈련교관은 “훈련 성과, 친화력, ... ...
- [인터뷰] 관찰기록으로 정형행동 하는 동물을 돕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우동수 대원들은 동물원이나 동물 카페에 방문해서 조사 대상 동물 10종의 건강과 환경을 조사하고 기록합니다. 동물 종마다 필요한 환경이 다르고 먹이, 행동풍부화 프로그램도 다릅니다. 대원들은 동물원에 가기 전 우동수비대 활동 백서를 참고해 동물의 습성을 예습하고, 동물원에서 동물이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말했습니다. 꿈이 그림으로 탄생하다! “우와! 홍승우 작가님 금손!”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 독자들에게 기억에 남는 꿈이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홍승우 작가는 두 명의 꿈 사연을 선정해 현장에서 꿈을 그려주었어요. 작가가 흰 종이에 연필을 갖다 대자 쓱싹쓱싹 그림이 모습을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조사했지요. 또, 인공위성*으로 식물에 싹이 나는 시기를 분석해 봄이 언제 시작되는지도 조사했어요. 관찰 결과, 봄은 점점 빨리 오지만 새들은 빨라진 봄을 따라가지 못해 짝짓기 시기를 놓쳤어요. 결국 새의 수는 점점 줄어들었어요. 연구진은 2100년이 되면 봄이 시작되는 때가 지금보다 25일 정도 ... ...
- [과학뉴스] 지사탐 박쥐 연구자, 류흥진 박사의 수상 소식을 전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국제 박쥐의 밤’ 행사를 진행하며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주도 동굴에 사는 박쥐를 조사하는 등 시민과학을 활용한 박쥐 연구를 이어갔지요. 류 박사는 이번 수상으로 와일드라이프 어쿠스틱스에서 박쥐의 초음파를 기록하는 장치와, 초음파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아요. 일본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질병관리청은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라는 기계를 이용해 모기의 수를 조사했어요. DMS는 모기가 자주 활동하는 시간인 오후 6시부터 오전 5시 사이에 모기가 좋아하는 이산화탄소★를 뿜어내서 유인한 다음, 기계 안으로 들어온 모기의 수를 자동으로 세요. DMS를 곳곳에 설치해두면 특히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다른 걸까? 강 길이, 제각각 다른 이유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은 어디일까요? 미국 지질조사국과 영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나일강이 6650km로 세계에서 제일 깁니다. 그런데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는 아마존강이 6992km로 가장 길다고 주장해요. 강의 길이가 제각각인 이유는 뭘까요? 강의 ... ...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행동과 새끼 원숭이가 서로 어떤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가는지 연구하고 있지요. 현장 조사를 위해 작년 11월 야쿠시마에 방문한 이후,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7개월 만에 다시 야쿠시마를 찾았답니다. 1998년 가고시마의 바다거북 보호 조례, 2007년 야쿠시마의 원숭이 먹이 주기 금지 조례가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km 고도의 번개보다 더 높고 잦아 가장 강력한 번개로 기록됐다고 덧붙였지요. 미국지질조사국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보통 번개 섬광은 해발 20km 이상에서는 기압이 낮아 잘 발생하지 않는데, 화산 폭발이 높은 고도에서도 번개를 만들어 낼 만큼 비정상적으로 매우 높은 기압을 형성했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