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문제를 풀기 위한 규칙을 먼저 정해요. 이 규칙을 ‘공준’이라고 부르고 공준이 정해지면 그 안에서 자유롭게 문제를 풀 수 있지요. 을 보면 기하학에서 지켜야 하는 공준이 5개 있어요. 5번째 공준을 다르게 표현하면 ‘임의의 직선이 있고 그 직선 밖에 점이 있을 때 이 점을 지나며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결과를 발표하고 교류한 시간은 그래서 소중했습니다. KAIST 학부과정은 학과를 자유롭게 정해요. 전 기계공학을 선택했어요. 미시적인 입체구조로 다양한 전기적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미세 전기 기계 시스템) 장치부터, 거대한 플랜트에도 응용하는 역학까지 ... ...
- [과학사] 1913년 3월 6일 원자의 궤도를 찾아내다! 닐스 보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원자에는 전자가 회전하는 궤도가 양파처럼 여러 겹 있다고 가정했지요. 그럼 전자는 정해진 궤도 안에서 원자핵 주위를 회전해요. 전자가 다른 궤도로 넘어가려면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특정한 에너지를 한꺼번에 얻거나 잃어야 하죠. 예를 들어 원자핵과 가장 가까운 궤도에서 그다음 궤도로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가는 길도 이젠 전부 포장됐다”며 웃었다. 2023년 5월 24일로 누리호 3차 발사일이 정해졌다. 3차 발사에서 소형위성과 큐브위성 등 위성 총 8기를 지구 저궤도(550km)에 투입하는 비행이 이루어진다. 사실상 누리호의 첫 번째 실전 비행이다. 앞으로 누리호는 2025년부터 매해 3차례 발사하며 신뢰성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먼저 알아야 했다. 뇌 가소성이란 쉽게 말해서, 뇌의 특정 부위들은 역할이 선천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시각을 담당하던 뇌 피질에 후각을 연결하면 그 부위가 냄새를 판별하도록 기능이 변하게 된다는 것이 바로 뇌 가소성의 대표적인 예다. 핍은 눈을 ... ...
- [출동!슈퍼M] 신호등 초록불 신호는 어떻게 정해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계산할까? 횡단보도에서 초록색 신호등의 시간은 보행자*의 걸음 빠르기를 고려해서 정해요. 대부분의 사람이 1초에 1m(미터)* 정도를 걸을 수 있다고 생각해 계산하지요. 만약 16m 길이의 횡단보도를 건넌다면 16초가 걸린다고 생각하는 셈이에요. 단, 16m 횡단보도의 초록색 신호등 시간을 16초로 딱 ... ...
- 첫 번째 질문 I 인류는 무한을 어떻게 떠올리게 됐을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무한을 단순히 큰 수라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 텐데요. 사실은 어떤 정해진 큰 수를 넘어서 ‘영원히 끝나지 않는 상태’라는 어려운 개념이에요. 그럼 인류사에서 무한에 관심을 갖고 탐구하기 시작한 건 언제부터일까요? 인문학자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 무한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것 ... ...
- [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지난 줄거리] 현세의 자본력에 따라 내세의 등급이 인간, 동물, 식물로 정해지는 세계에 사는 설진은 구청에서 식물 등급을 얻은 아버지의 내세 좌표를 받는다. 이후 채식 음식점에서 중요한 미팅을 하게 되고, 다음날 있을 중요한 발표에 시간 약속을 잘 지키라는 조언을 듣는다. 설진은 발표를 ...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렇게 확장된 부분을 튜브라 부르는데 내부로 세포액이 흐르며 영양분을 전달한다. 정해진 형태는 없지만 최대 시속 4cm의 속도로 움직인다. 게다가 이들은 단세포생물이면서 영양분만 충분하면 지름 수 m까지 성장할 수 있다. 이유 2 : 그래서 이들의 분류가 이상하다. 황색망사점균은 수십 년간 ... ...
- 유재석이 꿈이었던 학창 시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공부해야 할까?’, ‘위상수학은 왜 알아야 할까?’, ‘좋은 수학 교사란 뭘까?’ 같은 정해진 답이 없는 질문에 답하려고 노력했다. 한번 토론에 불이 붙으면 끝없이 이야기가 이어져 밤을 샌 적도 많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수학과 다른 모습의 수학에 사로잡혔다. 그는 “뭐든 증명을 해야만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