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토"(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열을 가해 변형시켜 만든 비금속 무기 재료다. 오래전부터 써온 전통적인 소재다. 보통 점토 같은 천연 원료를 반죽해 모양을 낸 뒤 열을 가해 구워 만든다. 대표적인 예가 그릇이나 도자기, 유리 등이다. 시멘트, 타일, 변기도 세라믹이다. 편의상 이런 종류를 전통세라믹이라 하며, 요즘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차단하는 역할이다. 내화재는 고온의 연소 가스나 산화 작용에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점토질이나 고알루미나질, 크롬질 등이 주로 쓰인다. 열을 흡수하고 부풀어올라 스스로 탄소화되며 열이 철재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그러나 내화재가 열을 차단하는 시간은 한계가 있다. 보통 약 1시간 가량 ... ...
- 세라피아에서는 도자시도 융합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물레성형은 ‘사랑과 영혼’이라는 영화 장면에서 나와 더 유명해졌지. 먼저 물레 위 점토를 손으로 잘 감싸면서 위로 올려 줘야 해. 그런 다음 가운데를 양쪽 엄지손톱으로 지그시 누르면 구멍이 만들어지지. 그런 다음 안쪽에 손을 넣어 공간을 점차 넓혀 주면 그릇 모양이 만들어지지.토락교실 ➌ ...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가스를 추출했다.셰일 가스는 사암보다 알갱이가 작은 셰일 안에 들어 있는 천연가스다. 점토가 퇴적된 암석이기 때문에 알갱이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셰일 가스는 ‘수압파쇄법’이라는 채굴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 양은 많지만 사용할 수 없는 자원으로 취급받았다.수압파쇄법은 ...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이동하는 전자가 전류가 된다. 반응성이 서로 다른 두금속과 컬러점토를 이용하면 ‘점토전지’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두 종류의 금속 여러 개와 비전도성 고무찰흙을 함께 사용하면 전지의 전압을 높이고 전지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반응성 차이가 큰 금속의 조합일수록 더 많은 전자를 ...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열선을 이용한다. 예측보다 약간 더 높은 온도인 80℃의 열을 10년 동안 가하면서 점토의 성질이 어떻게 바뀌는지, 균열이 생기는지, 압력은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물론 실제로 핵폐기물을 저장해야 하는 기간에 비해 10년은 매우 짧은 시간이다. 수천, 수만 년이 지난 뒤에 어떻게 될지 ...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분수 축제 ‘지하 워터월드’25억 년 전 화성이 그랬듯(87쪽 참조) 물이 탄산염이나 점토층을 모두 뚫고 지하로 스며든다면 낯선 풍경이 펼쳐진다. 대기는 건조해지고 기상 현상도 사라진다. 지표의 모든 풍화 작용이 멈춰 화성처럼 과거의 지형이 고스란히 남을 것이다. 수증기가 사라지므로 ...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수도 있기 때문이다.지하수가 잘 흘러도 싱크홀이 생길 수 있다. 지하수가 흐를 때 점토, 실트, 모래 등 크고 작은 알갱이들도 함께 흐르며 지하수가 흐르는 구멍을 점점 깎아낸다. 지하수길이 침식돼 점점 커지면서 싱크홀의 위험도 높아진다.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홍토, 점철석처럼 메콩강 주변에 많은 재료로 만들어 현지에서 자체 생산이 가능하다. 점토는 구웠을 때 작은 공극이 생겨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내는데, 왕겨를 섞으면 효과가 더 커진다. 여기에 양전하를 띤 홍토와 점철석을 섞어 넣으면 물에 섞인 바이러스도 제거된다.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 ... ...
- 비밀은 도구에 있다? 육상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앙투카 트랙에서 100m를 10초 60에 통과하며, 처음으로 10초대에 진입한다. 앙투카 트랙은 점토를 고온으로 구운 다음 가루로 만들어 포장한 트랙으로, 비가 와도 물이 잘 빠지고 단단해서 달리기 좋다. 하지만, 너무 단단해 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기록이 크게 나아지지는 않았다.192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