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제"(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일반고 졸업생 사이의 차이가 사실상 없다. 이병호 학부장은 “교수들이 선행학습을 전제하지 않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친다”고 말했다. 인재상 소통하며 협업하는 연구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가 원하는 인재상은 뭘까. 이병호학 부장은 “수학과 물리 분야의 기초가 튼튼한 학생들을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경우 중력이 정육면체 지구의 여섯 면에 미치는 힘의 방향과 크기의 조건은 동일하다고 전제했다. 실제 지구에서는 중력이 지구 내부 중심점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거리, 즉 지구 반지름(약 6378km)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구형이기 때문에 지구상 어느 지점 에서든 중심에서부터의 거리가 거의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초끈이론은 모든 입자들이 짝이 있다는 초대칭성을 전제로 하는데, 짝입자 중 하나가 암흑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초끈이론은 검증이 아주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방정식의 해가 10500개!초끈이론에서 나오는 방정식의 해는 대략 10500개다. 유한하지만,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필요하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런 관리자를 선정할 수 있는지도 따져봐야 하지만, 그런 절대적인 관리자로부터 결제 내용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장받을 수 있는지도 의문이 남는다. 비트코인은 ‘합의 알고리즘’으로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정의하고 이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논리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결론 명제를 전제 명제로 뒷받침하는 것이다. 세부적 형식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지만 논리적 사고에서 가장 간단한 모델은 이처럼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스마트폰, DNA, 공전궤도의 공통 개념2018학년도 POSTECH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제품을 다른 구성원에게 추천할 수 있다. 그룹에 묶인 사람들은 관심사가 비슷하다고 전제하는 만큼 한 구성원이 제품을 구입하면 다른 구성원도 그 제품에 구매 의사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쇼핑몰 앱에서 니트를 자주 검색하거나 이미 구입한 사람들을 한 그룹으로 묶고 이 그룹의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장했습니다. 똥이 맛있어서 먹는다?하지만 하트 박사가 주장한 사실에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건강한 개’가 보이는 식분증이라는 점입니다. 간혹 몸에 이상이 있어 식분증을 보이는 개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식욕을 증가시키는 내분비계 질환이나 내부기생충 감염증, 영양흡수 장애,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의지나 동기에 주목하는 반면, 목적론적 윤리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어떤 목적이 있음을 전제하고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가 선하고 옳은 행위라고 본다. 이런 목적론적 윤리의 대표적인 사례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칙으로 잘 알려진 ‘공리주의’다. 즉 관련된 사람들의 ... ...
- 치킨은 행복이다 냠냠지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지표는 같은 물건은 어디서나 값이 같아야 한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전제로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화폐 가치가 적정한지 살펴보는 거지요. 예를 들어 빅맥 1개가 미국에서 3달러이고 일본에서 300엔이라 할 때,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라 환율은 1달러당 100엔이 됩니다. 물론 이 환율이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은 아동에게도 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를 전제로 과학자들은 장애아동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박성기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2014년, 자폐아동의 사회화 훈련을 돕는 로봇 ‘카로’를 개발했다. 아동을 닮은 휴머노이드로, 6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