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모
전용
d라이브러리
"
전적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뿌리고 좋은 퇴비로만 기른 식품이라고 하지만, 재배지에 가보지 못한 소비자는 그 말을
전적
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10년 뒤 DNA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유기농’ 꼬리표가 붙은 과일을 사며 ‘정말일까?’라며 고개를 갸우뚱 거렸다면 이제 DNA바코드에 관심을 ... ...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익명성 나쁘지만은 않다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질문이 있다. 악플이나 불지르기를
전적
으로 개인의 행위로 볼 것인가 아니면 일종의 집단행동으로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참여자들 각각을 중요하게 여기는 소규모 뉴스그룹이나 토론방과 달리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인터넷 대중매체나 포털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중앙기상대가 일본전신국에 위탁해 부산에서 정기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했다. 물론 이는
전적
으로 일본의 국익을 위해서 실시된 것이었다.세월이 흐르고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의 패권을 놓고 러시아와 격돌했다. 대한제국의 분명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군대를 파병했고 1904년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미국과 러시아 단 두 나라뿐. 우주비행사를 배출한 유럽과 중국도
전적
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NASA 우주식품개발센터(FTCSC)와 러시아 생화학문제연구소(IBMP)는 세계적인 우주식품연구소로 이름이 나있다. 이 중 FTCSC는 1960년대 아폴로 계획을 성공리에 추진해오면서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동력전달장치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핵심기술로 분류된다. 그동안 독일과 일본 등 외국에
전적
으로 의존해 오다 이번에 국산화한 것. 한일이화는 국내 최초의 미래형 자동차 좌석인 IRS와 포드사에 납품 중인 첨단 자동차 좌석을 함께 선보였다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상공을 가로지르기 시작했다.우수아이아 기지로 돌아왔다. 세번째 남극점 비행은
전적
으로 날씨에 달려있다. 징조가 좋지 않다. 대기 중에 얼음 알갱이들이 눈에 띄게 많아진다. 남극점 비행 시즌이 지났다는 것을 인정해야 했다. 1주일후면 남극에 칠흑 같은 어둠이 찾아올 것이다. 남극점 비행을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연평균 풍속이 5~6m/s정도일 때 경제성이 있도록 설계됐다. 아직까지 풍력발전기를
전적
으로 해외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영덕풍력단지처럼 연평균 풍속이 6.8~7m/s 정도인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영덕이나 대관령, 제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연평균 풍속이 5m/s가 안돼 풍력발전기를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잃는 일 없이 무사히 귀환할 수 있다. 해저의 시계가 불량한 경우에도 AUV가 카메라에
전적
으로 의존하지 않고 수중복합항법시스템을 보조적으로 사용해 무사히 도킹이 이뤄진다.2006년 말 6천m급 한국산 무인잠수정 개발이 완료되면 동해 해저 2천-3천m와 태평양 6천m 심해를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는 ... ...
약물치료로 사랑도 조절 가능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안정화시켰기 때문이다.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감정과 행동에 뇌의 화학반응이
전적
으로 관여한다는 것은 아니다. 남녀관계는 당연히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을 바탕으로 생각해봐야 한다. 하지만 이 두가지 요인만으로 전부 설명되지 않는 것들도 많다. 특히 부부관계에서 반복적으로 심하게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어느 시대, 어느 문명권에서든 간격이 동일하다. 그러나 자연적인 날에 비해 시간은
전적
으로 인위적인 단위에 불과하다. 지금처럼 하루를 24시간으로 정한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 때부터였고, 이 관습이 그리스와 로마에 전달돼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그것도 지배계층만 그랬을 뿐 그리스와 로마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