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d라이브러리
"
자신
"(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키다. 외부에 공개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한다. 비밀키는 암호를 푸는 키로 쓰는데,
자신
만 가지기 때문에 비밀키 또는 개인키라고 한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두 소수(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년 일본 수학자인 타카기 테이지가 발견했다. 이후 1980년대에 영국 수학자 데이비드 톨이
자신
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라고 부르면서 별칭으로 굳어졌다. 블랑망제라는 이름을 생각해낸 건 톨의 동료인 존 밀스였다. 그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책인 에서 푸딩의 형태를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놀랍게도 카우보이 게임에서 야생마가 카우보이를 떨어트리기 위해 날뛰는 동작이
자신
이 예측한 패턴과 똑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런데 이 같은 동물의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1년 동안 이 연재를 함께한 여러분에게 수학에 대해서
자신
만의 생각을 가지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Rethinking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움직이는 거랍니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자신
손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닉 핸드 의학이 발달했지만, 불의의 사고로 신체 일부를 잃은 사람들은 평생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스웨덴에 사는 50대 여성 카린 역시 20여 년 전 농사일을 ... ...
맞춤형 생성AI 만들기 - 위대한 이론물리학자, 아인슈타인 챗봇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UI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GPTs로 일반 사용자들도 코딩 없이
자신
만의 커스텀 언어모델(GPT)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오픈AI가 내 스타트업을 죽였다’는 실리콘밸리의 밈이 왜 탄생했는지 느끼게 만드는 변화다.Q. 광전효과를 어떻게 발견하셨죠?광전효과 자체는 내가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수행해왔던 윌킨스는 랜달에게 이와 같은 조치를 전혀 통보 받지 못했고, 프랭클린을
자신
의 연구를 보조하는 조교로 대했다. 독립 연구자이자 동료로서 대우받지 못하는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의 상황은 프랭클린을 함께 일하기 어려운 성격의 사람으로 비춰지게 만들었다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1932년 어느 날 클라인이
자신
이 만든 문제를 모임에서 소개했고, 문제를 풀 시간을 준 뒤
자신
의 증명법을 설명했다. 이를 유심히 듣던 세케레시와 헝가리의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클라인의 문제를 일반화해서 연구했고, 1935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동안 클라인과 세케레시는 사랑에 푹 빠졌고, 2년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폴란드 수학자인 후고 슈타인하우스는 ‘각자가
자신
이 생각하는 기준으로 판단한 가치의 1/n이상에 해당하는 몫을 차지하면 공정한 분배가 이뤄진 것’이라고 공정한 분배의 수학적 정의를 내렸다. 1948년 그는 경제학 학술지인 에 발표한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가명을 써서 보냈다. 당시 한창 수학자로서 명성을 쌓아가던 굿맨은 사람들이
자신
을 하찮은 퍼즐에나 관심 있는 수학자라 생각할까 봐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우려와 달리 팬케이크 문제는 수학자 사이에서 난제로 유명해지면서 여러 파생 연구를 낳았다. 문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