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론
가입
서서
길잡이
초보
d라이브러리
"
입문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약학대학 학제개편에 따른 진로설계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않기 때문에 영어 실력을 높인다면 경쟁력이 상당히 높을 것입니다. 참고사항 약학대학
입문
자격시험(PEET) 시행방안 ● 시험 과목 언어 추론, 화학추론(일반화학, 유기화학), 생물추론(일반생물), 수학·물리추론(대학수학, 일반물리) 4개 영역이다. ● 시험 가중치 - 총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언어추론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프레시안’에 연재돼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해학과 재치가 어우러진 생생한 물리학
입문
서를 만나보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빈곤한 만찬피에르 베일 지음 | 양영란 옮김 | 궁리 | 344쪽 | 1만 5000원15년 넘게 농업생산방식과 건강의 상관관계를 연구해온 저자는 영양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 ...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있는 저자가 중학교 졸업생들과 수학에 고전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위해 쓴 고교 수학
입문
서. 수학공부에서 중요한 건 ‘흐름을 타며 전체를 보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저자는 중·고교 수학을 5개 장 35개 절로 분류해 물 흐르듯이 읽을 수 있게 경쾌한 필치로 서술했다.과학이 나를 부른다김연수 외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듯 의·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의·치의학교육
입문
검사(MEET&DEET)를 치러야 한다. PMS 김정현 원장은 “MEET&DEET는 전문대학원 당락을 결정짓는 가장 큰 전형요소로 기초 자연과학 과목들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EET&DEET는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해프닝도 있었다. “실험을 하다가 자연스레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사진에
입문
한 계기를 물어보자 그는 석사과정 시절 기억을 더듬었다. 학부를 졸업한 뒤 그는 당시 최신 분야였던 광통신을 공부하기로 마음먹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진학했다. 마침 미국에서 광통신을 전공하고 막 ... ...
달콤한 단백질 X선 샤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꿈을 찾아 가는 과정을 지켜보자.박훈희 만화가강주배 작가의 문하생으로 만화계에
입문
해 그동안‘어린이 과학동아’와‘과학쟁이’에 과학과 수학 만화를 연재했다. '달콤한 단백질 X선 샤워' ... ...
출발! '빛공장'으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꿈을 찾아 가는 과정을 지켜보자.박훈희 만화가강주배 작가의 문하생으로 만화계에
입문
해 그동안‘어린이 과학동아’와‘과학쟁이’에 과학과 수학 만화를 연재했다. 출발! '빛공장'으로! 제1화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무언가 추구하는 능력을 얻었다.벤처캐피탈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1997년 투자업계에
입문
해 한국 최초로 바이오전문펀드를 만들고, 2002년부터 항암제 신약후보물질을 5개나 개발한 미국 렉산파마슈티칼스사의 재무를 총괄하는 자리에 오른 원동력이다.정 부사장은 “탄탄한 우량주가 된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했다.“여긴 대체 뭐 하는 곳이에요? 저 괴물은 또 뭔가요?” 감 박사는 대답 대신 출
입문
옆에 두 주먹을 머리 위로 뻗은 로봇의 눈에서 작은 칩을 꺼내 벽에 비추었다. 괴물 로봇을 만드는 대통령의 모습이 녹화된 동영상이다.우선 여기저기 흩어진 프라모델들이 눈에 띈다. 다리와 엉덩이까지만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하기 때문에 논리가 엄밀하고 깊이가 있는 것이 예술과 같습니다.”그가 펴낸 ‘집합론
입문
’에는 ‘수학자와 철학자, 전산학자, 언어학자를 위한 책’이란 부제가 달려있다. 함수해석학의 기초가 되는 집합론에서는 ‘1+1=2’조차 증명한다. 수학자 뿐 아니라 철학자, 언어학자들도 객관적인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