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삭제된 데이터를 다시 되돌리는 작업이다. 저장매체의 파일을 지웠다고 해도, 실제 파일의 데이터가 바로 없어지는 게 아니다. 도화지에 연필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생각해 보자. 그림을 다 그리고 보니 도화지의 한 귀퉁이에 새로운 그림을 그리고 싶어졌다. 그럼 그 영역을 바로 지우지 않고 ... ...
- [과학뉴스]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이론 뒤집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 1월 17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캐번디시연구소와 카블리 우주론연구소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으로 ‘GN-z11’ 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을 발견했습니다. 무려 134억 살이나 되는 블랙홀이었죠. 연구팀은 블랙홀의 질량을 분석해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시 ... ...
- [기획] 풍선껌 크게 불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해 11월 25일, 서울의 한 게임 스튜디오에서 풍선껌 대회가 열렸어. 풍선껌으로 하는 대회라니, 어떻게 이런 경기가 열린 걸까?지난해 11월 25일, 서울의 한 게임 스튜디오에서 풍선껌 대회가 열렸어. 풍선껌으로 하는 대회라니, 어떻게 이런 경기가 열린 걸까? 풍선껌, 크게 불면 1000만 원?“어더 ...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해 12월 경복궁 서십자각 터 주변 담벼락에 커다란 스프레이 낙서가 생겼어요. 문화재보존가들이 빠르게 복구한 덕분에 담벼락은 다행히 8일 만에 원래 모습을 되찾았죠. 훼손된 문화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문화재 의사’ 이태종 문화재보존가를 1월 23일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만났습니다. ... ...
- [Level Up!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에게 눈이 있다면? 컴퓨터 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요즘에는 스마트폰 얼굴 인식처럼 컴퓨터가 이미지, 영상 등을 인식해 분석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고 해. 그래서 감쪽같이 변장을 하고 컴퓨터 비전을 속여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안 속잖아? 컴퓨터에 눈이 달렸다?!우리 반 단체 사진에서 친구들의 얼굴을 찾아본 적 있나요? 유 ... ...
- 1년은 365일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년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에요. 총 12개월, 365일을 1년이라고 흔히 말하지요. 그런데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데는 정확히 ‘365일 6시간’ 정도가 걸려요. 1년을 하루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 6시간을 잠시 뺀 것이지요. 그러나 이 6시간을 계속 무시하면, 120년 후에는 실 ... ...
- 사라진 ‘6시간’은 어디에 모였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년을 365일로 헤아린 채 4년이 지나면, 1년에 들지 못했던 6시간이 총 4번 생겨요. 6시간을 4번 더하면 총 24시간, 하루가 되지요. 이렇게 4년마다 만들어진 하루가 바로 윤년 2월 29일이 돼요. 2월 29일은 2016년, 2020년, 2024년, …처럼 연도의 숫자가 4의 배수★인해에만 있답니다!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우리는 일의 자리보다 작은 수를 표현하기 위해 ‘소수점’이라는 부호를 사용한다. 소수점은 언제 처음 쓰였을까. 글렌 반 브루멜렌 캐나다 트리니티웨스턴대 자연 및 응용과학부 교수는 15세기 중반인 1440년대 유럽에서 소수점이 처음 쓰였다는 연구 결과를 2월 17일,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아 ...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드넓은 바다에서 사는 바다생물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24만 종이 넘는다. 그 중 우리가 이름을 댈 수 있는 생물은 몇이나 될까? 신비로운 바다생물을 알리기 위해 직접 바닷속에 뛰어들어 사진을 찍는 사람이 있다. 그의 사진첩 일부를 공개한다. “바다생물은 생 ...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4월 홍성, 당진, 부여 등 총 12곳에서 연쇄적으로 3일 동안 대형 산불이 발생해 큰 피해를 봤다. 우리나라 산처럼 나무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숲에서는 한 지점에서 시작된 불이 금세 주위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숲속 나무 밀도에 따라 산불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는 수학 이론이 있다. 바로 ‘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