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별
별거
분리
분할
구분
구별
이탈
d라이브러리
"
이별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누구나 생활하다 보면 우울할 때가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
할 때,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병에 걸렸을 때 우리는 우울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정신병이 아니다. 누구나 경험하는 '정상적'인 것이고 자연스럽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별이 없다. 그나마 천구의 남극에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은 팔분의자리의 시그마(σ)로,
이별
은 남십자성을 남쪽으로 4배 정도 연장한 곳에 보이는 5등급의 별이다.남반구의 별들은 천구의 남극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남반구에서 망원경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망원경의 회전 방향이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또한 모든 것은 항상 예전과 같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니 인간사에서도 만남이 있으면
이별
이 있고 탄생이 있으면 죽음이 있게 마련이다. 진정 살아있는 생명, 그리고 그들이 만든 사회 전체도 원래의 모습에서 벗어나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려 한다. 이들을 포함하는 지구, 별, 은하들도 예외가 ... ...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모습이 마치 세상사에 찌든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려는 듯하다. 바로 위에는 좀생
이별
로 불리는 플레이아데스성단이 아름답고 화려한 모습을 간직한 채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 1일 : 오후 9시15일 : 오후 8시30일 : 오후 7시 남쪽의 밤하늘천정에는 하늘을 나는 천마 페가수스가 깊어가는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구할 수 없다. 방법은 주위에서 밝은 별을 찾고
이별
의 적도 좌표를 성도에서 찾은 다음
이별
로부터 북쪽으로 몇도 동서방향으로 몇도 떨어져있는지를 실측하여 구하는 것이다. 쉬운 방법은 아니다. 적도 좌표를 제대로 이용하려면 하늘에 좌표를 알고 있는 밝은 별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천체의 ... ...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과의 거리는 4.249광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알파성의 반성(伴星)까지의 거리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정밀 측정됐다.
이별
은 11등급의 별로 과거 이 별까지의 거리는 4.22±0.02 광년으로 측정됐었다.허블망원경은 92년 3월 이래 12회 이상의 관측을 실시해 정확한 거리가 4.249±0.003광년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관측결과는 지금까지의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밝기를 비교해보면 그 변화를 알 수 있을 것이다.베텔기우스의 스펙트럼형은 M2로 이것은
이별
의 표면 온도가 3만4천K(절대온도)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온도에서 이 별 에너지의 거의 90%가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으로 방출된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거의 10배에서 15배 사이인 것으로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주성은 2.2등급으로 아크투루스와 아주 유사한 오렌지색 거성이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이별
은 5등급의 청색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 이 동반별은 그 자체가 밀(密)한 이중별인데 그 두 구성별을 구별해보기 위해서는 지름이 2백20㎜ 이상인 망원경이 필요하다.안드로메다자리는 작은 망원경으로 볼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만물이 움직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그렇지만 천랑성은 흰색이었고 그런 견지에서
이별
에 어떤 변화는 없었다고 분명하게 지적하는 중국서적들도 있다.이는 별들의 색깔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다. 사실 이떤 별들은 변하곤 한다. 가령 어떤 적색거성들은 고동치듯이 떨면서 보통 때에 비해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리시키려고 할 때 수치타가 새끼를 먹어버린 경우도 있다. 제 새끼를 죽일지언정 생
이별
만은 못하겠다는 비장한 부정의 표시다. 또 어미 치타가 죽자 수치타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었다는 보고도 있다.치타의 임신기간은 90~95일이다. 치타는 대개 3~6월에 몸무게가 2백50~2백80g 나가는 새끼치타 1~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