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입
쇄도
흐름
흡입
흘러듬
내습
d라이브러리
"
유입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850년 바닷속 탄소량은 3만 8000Gt이었어. 로스먼 교수는 이후 310Gt 이상의 탄소가 더 바다로
유입
되면 대량 멸종을 야기할 수 있는 급격한 변화에 해당할 거라고 했어. 1850년 이후 늘어난 탄소량은 155Gt이었고, 만약 같은 추세로 탄소량이 늘어나면 2100년쯤엔 400Gt을 넘어설 거라는 계산 결과가 나왔지.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떠나게 되지. 그중 난이도의 밸런스를 맞추는 건 매우 중요해. 새로운 유저를 계속
유입
하게 하면서도 기존의 유저들을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모두에게 적절한 난이도를 설정해야 하거든. 난이도의 밸런스를 맞추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어. 게임을 출시하기 전 난이도를 모두 결정해놓는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아폴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던 1967년 우주 조약(Outer Space Treaty)을 통해 외계 물질
유입
으로 지구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탐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이에 따라 1969년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들은 지구로 귀환한 뒤 밀폐된 오염물질 제거실에서 3주를 보내야 했다.2024년까지 다시 ... ...
[한페이지 뉴스]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은하만을 연구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차가운 기체
유입
이 은하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은하에서 관측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s41586-020-2276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면역력을 갖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바이러스가 몸속에
유입
돼 퍼지는 것을 막는 중화항체가 생겨야 한다. 중화항체는 바이러스를 죽이거나 세포 침투력을 무력화하는 항체다. 몸속에서 중화항체가 검출되면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기본적인 면역력을 갖춘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북미산 여우는 지금까지 우리 생태계에는 서식하지 않는 종으로 파악된 만큼
유입
경로는 아직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원혁재 센터장은 "북미산 여우를 방생하거나 훈련 중인 여우와 합사하면 유전적으로 교란이 생길 수 있다" 며 "타 기관으로 인계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 날아온 운석으로 알아낸 화성 나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충돌로만
유입
되는 만큼 텅스텐의 동위원소를 분석해 텅스텐이 언제 마지막으로
유입
됐는지, 즉 소행성 충돌이 언제 마지막으로 이뤄졌는지 알아낼 수 있다.이를 통해 현재까지는 태양계 형성 이후 200만~400만 년 동안 화성에 소행성 충돌이 일어났다고 추정했다.하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원시행성 ... ...
[천리안 2B호] 총괄 최재동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2B호의 임무는 해양 환경과 대기 오염물질 관측이다. 최근 국민적 관심사인 미세먼지의
유입
과 이동 경로 등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천리안 2B호에는 해양탑재체와 환경탑재체가 달려있다. 최 단장은 “지금까지 개발된 대기 감시 전용 위성은 모두 저궤도위성으로 정지궤도위성이 대기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자신의 DNA와 바이러스의 DNA를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유입
된 DNA의 염기서열(시퀀스)을 알아채고 이를 잘라낸다. 크리스퍼-캐스9와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의 특정 시퀀스를 인식하는 능력을 활용한 것이다. 인간의 염색체는 약 30억 쌍의 DNA 시퀀스로 구성된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밀폐되지 않으면 다른 소리가
유입
돼 파동을 정확히 추출하기 어렵다. 마이크를 통해
유입
된 소음은 DSP(Digital Signal Proce ssor)가 분석한다. DSP는 소리를 분석하는 일종의 컴퓨터 칩이다. 소리의 파장과 진폭을 측정한 뒤, 이와 위상만 정반대인 파동을 만들어 귀 안쪽으로 쏴준다. 실시간으로 노이즈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