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욕구"(으)로 총 5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지금 당장 지구 반대편에 있는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 해변의 모래알을 만지고 싶은 욕구는 인공촉각 기술을 낳았습니다. 가상의 촉각을 만들어내 실제처럼 느끼게 해주는 기술이지요. SF라고요? 이미 인공촉각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연규 박사팀은 가상현실의 느낌을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싶은 유혹 등 우리 삶은 수많은 유혹으로 가득 차 있다.하지만 우리를 이런 부적절한 욕구의 노예로만 살지 않게 해 주는 힘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자기통제력 또는 의지력이다. 그리고 많은 연구 결과, 이런 의지력은 배터리처럼 상당히 한정돼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의지력을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쏙, 머리에 쏙쏙 들어오지?“만화를 통해서 아동들은 현실에서 허용할 수 없는 공격적 욕구를 발산할 수 있으며, 만화에 등장하는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현실에서 더욱 잘 적응할 수 있다.”- 쿠르트 레빈(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과학자)만화로 공부를?만화를 처음 공부에 활용한 것은 ... ...
- 흡연장면 보면 7일간 담배가 ‘땡긴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보건학] 흡연장면 보면 7일간 담배가 ‘땡긴다’잘생긴 영화배우가 그윽한 표정으로 담배를 물고 있는 모습이 왠지 근사해 보인다. 그 모습을 ... 번 노출된 결과 받은 영향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장기적으로 흡연 욕구를 느껴 담배를 피우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전 아이손 혜성 행사가 3일 만에 매진됐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별을 보고 싶어하는 욕구가 크다는 거지요. 다만 별을 보려면 멀리 가야 한다는 인식이 큰데, 시골이나 도시나 별을 볼 때의 감동이나 즐거움은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결국 굳이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멀리 가지 않고도 별과 태양계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모르게 화학공학과를 택했지만, 인류에 도움이 되는 과학자로서의 삶을 살아보고 싶은 욕구 역시 컸다는게 이 센터장의 설명이다. 석유 만드는 방법 없을까‘생물화학’ 접하며 과학자의 길 결정이 센터장이 본격적인 ‘바이오 에너지 전문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대학원 진학을 마음 먹은 건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 자신의 취향이나 관심도, 적성에 맞춰서 여러 진로가 가능하다. 거주성에 대한 욕구가 낮다고 건축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자신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분야가 뭔지, 공간에 대한 호오는 분명한지 판단하는 게 좋다.“건축가는 의외로 전문성을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너무 입시 위주이기 때문에 청소년이 자기가 하고 싶은 취미 생활을 해서 자연스럽게 욕구를 풀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장 연구원은 “공감과 소통이 중요하기 때문에 타인과 깊이 교류하며 해결해야 한다”며 “주변에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어른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가슴에 손을 얹고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구매 결정, 구매로 이루어져요. 문제 인식 단계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는 것이에요. 구매를 하겠다고 결정하고 나면 정보 탐색으로 넘어가죠. 가게에 가서 물건을 살펴보거나 인터넷을 통해 같은 제품을 산 사람의 평가를 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해요. 그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왜 이런 모양인지 호기심을 갖죠. 이렇게 인간의 알고 싶은 욕구에서 탄생한 학문이 과학이에요.그렇다면 과학이란 무엇일까요? 한 마디로 표현하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물들을 이해하는 것’이에요. 곤충과 식물, 동물, 행성, 별, 암석층 등 다양한 대상의 성질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