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담당하는 뇌 부위와 연합 네트워크를 만든다. 그런가 하면 가사를 해석할 때는 언어 영역이 나선다. 화성 진행이 복잡한 곡을 들으면 전전두피질이 활동한다. 전전두피질의 역할 중 하나가 음악이 기대하는 대로 흐르는지 아닌지 추측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음악을 듣는 과정이 귀에서 뇌간,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수준으로 물리학 실험 탐구를 수행하는 과목입니다. 역학, 전자기학, 광학 등 현대 물리 영역의 실험들을 해보며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 실험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배웁니다.그리고 마지막으로 과학 과제연구가 있습니다. 경주고에선 이 교과를 ‘물리학 과제연구’ ‘화학 과제연구’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그런데 전파망원경으로 바라보는 순간 바로 그 진가가 드러난다. 은하의 둥근 별 무리 영역을 넘어서 은하 바깥까지 양쪽으로 멀리 뻗어나가는 놀라운 거품이 나타난다! 이것은 은하 중심에 존재하는 거대한 블랙홀이 막대한 에너지를 자신의 회전축을 따라 양옆으로 분출한 흔적이다. 헤라클레스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라이덴대 데이터에서도 최근 7년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여줬습니다. 자동차는 생활 영역이 주거지 근처에 국한됐던 인간 삶의 근본적인 한계를 해결해준 핵심 수단으로, 그 영향력은 우리가 막연히 생각하는 것보다 거대합니다. 음식이나 옷이 필요해도 자급자족해야만 했던 삶에서 벗어나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받아들여진 정보는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돼요. 뇌에는 여러 감각을 담당하고 처리하는 영역이 있어요. 예전 경험과 수용체로부터 전해진 정보를 비교해 어떤 감각인지를 판단해 주죠. 이를 통해 방금 쓰다듬으려고 했던 것이 강아지의 털인지, 선인장의 가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답니다. # 통합 ... ...
- [광고] “중학교 도형 단원의 큰 지도를 얻어가면 좋겠어요”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하죠. 그러다 보니 개념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도형 영역만 다루게 됐어요. Q. 이 책에서 주인공은 정삼각형 마을에서 자신만 직각삼각형이라 외로움을 겪다가 여행을 하며 직각삼각형의 여러 원리를 배우고 자신감을 되찾는데요. 이 내용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주고 ... ...
- 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 연구원이 몸담은 천문연에서도 남반구 제미니 망원경에 설치된 고분해능 근적외선 영역 관측장비(IGRINS)를 이용해 외계행성 탐색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앞으로의 외계행성 연구가 “결국 지구형 행성을 찾고 분석하는 것, 나아가 생명의 증거가 될 물질을 찾는 방향”으로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발생하는 위상 잡음을 보정할 수 있어요. 하지만 230GHz와 345GHz는 둘 다 초고주파수 영역이라 그 두 개만으론 보정 효과를 볼 수 없었죠. 그래서 100GHz보다 낮고 천체 전파 관측에 사용되는 저주파수 영역, 86GHz를 함께 관측하자고 제안했어요.” 8월 8일 대전 천문연에서 만난 이정원 전파천문본부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양전하를 띠는 원자핵 사이를 지나가면 원자핵들은 전자 쪽으로 살짝 움직인다. 이 영역에 양전하가 강해진 일종의 ‘트랩’이 생긴다(위 그림 참조). 무거운 원자핵은 제 자리로 돌아가는 데 시간이 걸리고, 뒤따라오던 전자는 양전하가 강해진 트랩에 빠르게 끌려들어온다. 먼저 지나간 전자가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다시 살펴봤다. 이 관측은 제임스 웹으로 초기 우주의 광활한 영역을 훑어보는 ‘우주 진화 초기 방출 과학(CEERS・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허블 울트라 딥 필드’의 더 깊은 버전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최근 그 첫 번째 관측 데이터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