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깨"(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2 지상에서 우주 탐사 따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70일 동안 각도가 6° 기울어진 침대에 누워서만 생활해요. 식사, 배변, 샤워 등 뭘 하든 어깨 한 쪽은 침대 매트리스에 붙이고 있어야 하지요. 2014년 실험에 참가한 앤드류 이바니키는 SNS에 이 실험을 ‘두통’, ‘지루함’, ‘NASA에게 영원한 저주를’이라고 요약했지요.이 실험의 목적은 무중력 ... ...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훈련을 받으러 왔지요. 그럼 출동! 사회화 시기는 훈련의 골든타임“어젠 두부가 제 어깨를 앙! 물었어요.”두부의 보호자인 김동건 기자가 그간 두부와 겪은 일들을 털어놓자 이혜원 원장은 차근차근 설명했어요. “두부가 풍산개와 진돗개의 잡종이라고 했죠? 두 종 모두 독립적인 성격이라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몸 여기저기에 심각한 상처도 많았오요. 그런데 X선으로 외치의 몸을 촬영하자, 왼쪽 어깨에 화살을 맞은 자국이 발견되었어요. 외치의 무기에서 다른 사람들의 핏자국도 검출되었지요. 그래서 최근 고고학자들은 외치가 싸움 도중 목숨을 잃었으며, 최초의 살인사건일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은 팔을 어깨 높이까지만 올릴 수 있었고, 몸은 굽히지 못했다.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우주복 공개 행사에서 “아폴로 우주 비행사는 달 표면에서 마치 토끼처럼 깡총깡총 뛰어 이동해야 했다”며 “새로운 우주복을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충격적인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두개골과 앞발, 뒷발 골격은 도굴된 상태였으나 어깨와 앞다리 골격만으로 확신할 수 있었다. 반세기 동안 공룡 학계의 숙제였던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Deinocheirus·‘무서운 손’이라는 뜻)였다. 새로운 화석의 발견으로 연구에는 속도가 붙었고,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않는데도 우리는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습니다.만약 걷던 도중 돌부리에 걸리거나 어깨에 무언가 부딪히는 돌발 상황이 벌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촉각과 근육이 평상시와는 다른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가 대뇌에 전달돼 우리는 돌발 상황을 인식하게 됩니다. 척수에서는 넘어지지 않게 하는 보상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해외 연구자들이 자국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발표하는 걸 볼 때 부러웠죠.”10년 전, 해외 천문학자들이 수천만 광년 떨어진 천 ... 레이더 기술을 선도한 독일은 전파관측시스템에 대한 자부심도 크다. 그런 독일과 이제는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사실이 감개무량하기만 하다 ... ...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달라요. 로봇은 손의 현재 위치와 옮길 위치를 인식하는 것부터 손과 연결된 팔꿈치, 어깨 등을 어떻게 움직일지까지 다 알려줘야 해요. 이때 불필요한 동작 없이 빠르고 단순하게 움직이게 하는 알고리듬을 연구합니다. Q 로봇을 연구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김기문 대학 졸업 후 기업들의 관리 ... ...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세 발자국 정도 떨어져 다시 전체적으로 찬찬히 살펴봤다. 치골 부위뿐만 아니라 머리, 어깨, 배, 엉덩이와 팔 바깥 부위에서도 표피 박탈이 확인됐다. 게다가 모든 표피 박탈이 하나의 방향으로 생성돼 있었다. 사고사일까.변사자에게서 벗겨냈던 티셔츠를 다시 확인했다. 변사자의 손에 가려져 ... ...
- [JOB터뷰]지구를 지키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없나요?생김새가 좀 다르다보니 불편할 때가 있죠. 베이스 기타는 무거워 오래 연주하면 어깨가 아프고, 기타는 크기가 작아 팔 각도를 좀 달리해야 하지요.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건반이 재활용 악기가 아니라는 거예요. 실로폰으로 대체해 보려 했지만, 손가락으로 최대 열 개의 음을 누를 수 있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