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rchive
d라이브러리
"
아카이브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걸리지 않았다. 2월 5일에 출국해 2월 21일에 한국에 귀국했는데, 귀국하기도 전에 이미
아카이브
에 논문이 실려있었다. 처음 연락했을 때만 해도, 학생들은 버틀러 교수에 대해 아는 게 많지 않았다. 저글링을 연구하는 교수님이라는 정보가 전부였다. 알고 보니 버틀러 교수는 일 년에 논문을 10편씩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교수와 권세정 연구원, 정교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트위터와 유명 루머
아카이브
의 데이터를 토대로 루머가 전파되는 양상을 56일간 관찰해 특성을 파악했습니다. 그리고는 이를 토대로 루머를 잡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2일자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이 파악한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흔히 다이빙을 2초의 예술이라고 합니다. 동작을 많이 반복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지만 자칫하면 묘기가 끝나기 전에 물에 닿고 말죠. 과연 선수들은 2초 동안 얼 ... 싶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2016년 12월 19일 출판 전인 논문을 모아두는 온라인 사이트인
아카이브
(arXiv)에 실렸습니다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어떻게 형성돼 왔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논문 등록 웹사이트 ‘
아카이브
(ArXiv)’에 10월 11일 게재됐으며,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될 예정이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샌프란시스코주립대 교수가 주자가 n명일 때를 증명했다면서 논문을 올리는 웹사이트인
아카이브
에 연구 결과를 올렸습니다. 수학자들은 외로운 주자 추측이 풀렸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고, 이 논문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하루 만에 오류를 발견하고 논문을 철회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벡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근무하는 수학자 하리스 아지즈와 박사과정 학생인 사이먼 맥켄지가
아카이브
(새로운 연구 결과를 공개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새로운 케이크 분배 방법을 담은 논문을 올린 겁니다.지난해 두 수학자는 사람 수가 4명일 때 최대 203번 칼질하는 방법을 제시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어서 올해 사람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보니 너무 비슷해서 두 사람은 공동 논문을 쓰기로 결정하고 결과를 정리해서 5월 30일
아카이브
에 올립니다. 이 모든 것이 2016년 5월 한 달 동안 있었던 일이지요. 신형 무기의 정체는 대학생도 아는 수학대체 5월 5일 올라온 논문에는 어떤 방법이 담겨 있었기에 세트 문제가 단번에 풀린 걸까요?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파편에서 생성됐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분석 결과를 7월 8일 논문 초고 등록 사이트 ‘
아카이브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빛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두 위성이 지름이 마이크로미터(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미세한 입자로 구성됐다고 추론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위성이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138억 년보다 어릴 수도 있다는 뜻도 된다. 연구결과는 6월 9일 논문 수집 웹사이트 ‘
아카이브
’에 처음 공개됐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에 게재될 예정이다 ... ...
[과학뉴스]
아카이브
(arXiv)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학술지보다
아카이브
를 더 많이 본다. 비싼 돈을 내야 볼 수 있는 학술지와 달리
아카이브
에선 모든 논문을 무료로 볼 수 있다. 정보를 장벽 없이 공유하는 ‘오픈 엑세스’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