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해"(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낸 개체도 이득을 보는지, 아니면 포식자의 눈에 잘 뜨는 바람에 더 잡아 먹히는 손해를 보는지는 1977년에 동물행동학자 폴 셔먼이 이 행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전까지 수수께끼였다.이제 당사자의 적합도가 증가하건 감소하건 간에, 상대방의 적합도를 높여주게끔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된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찾았다. 각 개체는 자기의 번식 성공도를 늘리게끔 진화한다는 현대적 종합의 틀 안에서, 손해를 감수하는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것이었다. 집단 선택설이 아무렇지 않게 통용되던 학과에서 이는 분명 외로운 작업이 될 터였다. 게다가 야외에 안 나가고 방안에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룹보다 투자자에게 돌려준 금액이 25% 가량 많았습니다. 심지어 지나친 믿음으로 손해를 본 사람도 있었죠.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배신은 뇌의 생물학적인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이런 옥시토신의 강력한 효과 때문에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이다. 포식자에게 고약한 맛을 선사해서 자기 몸을 지키는 전략은 당사자에게는 손해지만 종 전체에게 이득을 줬기 때문에 선택된 이타적인 행동처럼 보인다. 피셔는 이런 이타성을 어떻게 설명했을까.피셔의 해답은 혈연이었다. 대개 애벌레들은 피를 나눈 친형제 자매들끼리 다닥다닥 붙어산다.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둑 선생님께 크게 혼났을 수”라고 평했다. 알파고는 이어진 왼쪽 아래 전투에서 손해를 보고 도망치는 와중에도 중앙을 향해 나갔다. 특히 흑73은 왼쪽 아래의 백에 거의 포로로 잡혔던 돌들이 순간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는 두터운 수가 됐다. 2국은 결국 중앙에서 알파고가 큰 이득을 취하며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더 큰 것을 놓치기도 했다. 사활이 걸렸을 때는 모양을 무시할 줄 알아야 하고, 부분적인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중요한 고지를 선점해야할 때도 있다. 이런 면에서 알파고는 판 후이와의 대결에서 아직 부족한 모습을 여러차례 드러냈다.위 그림은 공식 대국의 두 번째 판으로 알파고가 흑이다. 이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디서 무얼 하고 있었을까? 어쨌든 딸기독화살개구리 피부의 독처럼, 당사자에게는 손해만 끼치지만 집단 전체에게는 이득을 주는 것처럼 보이는 이타적 형질도 분명히 존재하지 않는가.삼총사도 이타성에 분명히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피셔는 포식자에게 끔찍한 맛을 선사하는 이타적 형질이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모양보다 어떻게든 살아가는 게 중요하고, 정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부분적인 손해를 감수할 줄도 알아야 한다. 알파고는 판 후이와의 대결에서 이런 부분에 약점을 보였다.알파고가 준비한 비장의 무기들준 역시 아직까지는 이세돌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 만약 여러분이 개발자라면 ...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무척 중요해요. 하지만 이건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상대방을 잘못 믿었다가 큰 손해를 볼 위험이 있기 때문이에요.그렇다면 상대방을 믿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개인적인 친분’이랍니다. 이전 과학자들은 침팬지의 행동을 관찰해 침팬지도 사람처럼 더 친한 친구와 그렇지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쉽게 친해지는 길이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있어서는 외톨이가 되는 것보다, 상처와 손해를 입을지라도 사람들을 믿고 다가가는 게 이득이라고 설명하는 학자들도 있다.그런데 대인 신뢰 과정이 재미있는 건, ‘일단 믿고 보자’ 후에는 ‘지켜보고 있다’ 는 비판적인 모드로 바뀐다는 점이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