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균관대학교"(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바다에서 폭풍을 기다린다! 웨이브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태풍 바람을 뚫고 나아가는 보트, 웨이브 글라이더작년 9월, 최고 풍속이 초속 50m나 되는 강한 태풍 ‘탈림’이 한반도를 향해 다가왔어요. 다행히도 탈림은 한반도에 도착할 때쯤 방향을 동쪽으로 틀어 일본을 통과해 빠져나갔지요. 그런데 모두가 가슴을 쓸어내리던 이때,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 ...
- Intro. 산타학교 졸업여행 매스트립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산타학교 졸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알립니다. 올해 졸업 여행의 주제는 ‘수학’입니다. 먼저 예비 산타들은 4명씩 조를 지어한 배를 탄 ‘크루’를 만들어 주세요. 여러분 스스로 여행지 선택부터 동선까지 수학을 주제로 계획해야 합니다. 졸업 여행 미션을 수행해야 비로소 산타클로스가 될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여기서 문득 방문하고 싶은 도시가 10만 개라면 어떻게 해야 할 지 궁금해졌습니다. 지금까지 최고 기록은 8만 5900개 도시를 방문하는 거였으니까요. n개의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는 ‘NP-완전’이에요. 어쩌면 n의 다항식 꼴로 표현되는 특정 횟수(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을 수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번에는 최적의 방법으로 동선을 짜는 방법을 알아봤어요. 수학자들은 여러 개의 도시를 최소 비용으로 여행하는 방법, 일명 외판원 문제(TSP)를 연구한다는 소식을 들었거든요. 보통 가장 싸게 여행하고 싶어 하지요? 외판원 문제는 여러 도시 중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하는 비용을 모두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제가 수학인 만큼 우리 크루는 ‘매스시티 맵’을 만들었습니다.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계획을 세우며 수학이 깃든 도시까지 중간에 들르기로 한 거죠. 각자 평소에 눈여겨 뒀던 지역을 토대로 61개 도시를 골랐습니다. 그중에는 유명한 관광지부터 수학적 의미 있는 장소도 포함돼 있습니다.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우리는 밀레니엄 난제를 발표한 클레이 수학연구소를 가려고 미국을 여행지 목록에 넣었어요. 그런데 목적은 따로 있었지요. 사실 우린 야구로 뭉친 크루거든요. 미국하면 또 야구 아니겠습니까! 우리 같은 야구팬들은 미국 여행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하나 있습니다. 미국 30개 야구장에서 경 ...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이제 우리가 처음 만들었던 지도의 최적의 경로만 찾으면 끝입니다! 그 전에 우리 크루는 탐구하며 배운 내용 중에 다른 친구들도 함께 풀어보면 좋은 문제를 만들어 봤어요. 자~, 여러분도 한번 풀어보세요! 활동 1 이탈리아 여행의 최단경로를 찾아라! 이탈리아 18개 도시를 지도 위에 점으로 ...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한국정보올림피아드를 주관하는 한국정보과학회 엄영익 회장(성균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으로부터 바뀌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들어봤습니다. 2018년 초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지역예선을 치르면서 문제에 오류가 발생해 많은 참가자들이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최근에도 수학은 과학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어요. 보통은 이론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때로는 연구 방향이나 방법 등을 통째로 바꿔 놓기도 합니다. 최근에 수학이 물리학, 화학, 생물학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살펴볼까요? 수학에서 ‘영감’ 받는 물리학2016년 노벨 물리학상 시상식에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천재 물리학자, 리틀 아인슈타인, 장애를 극복한 과학자. 이 말들이 누구를 가리키는 건지 아시나요? 주인공은 바로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후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로 칭송받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입니다. 21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이란 불치병을 앓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