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식물의 모습으로 기후변화를 알아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자라는 개체, 정원이나 공원에서 자라는 개체가 다 같진 않을 거예요. 나무가 뿌리박은 다양한 환경과 그 표면의 온도를 관찰하면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 아직은 작년 가을 단풍 기록만 있지만, 어떤 환경에서 단풍이 더 잘 들고 못 드는지도 대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닥터구리 팀, 제인구달 박사님께 받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지난 11월 23일 밤 11시, 온라인으로 뿌리와 새싹 30주년 기념 어워즈가 열렸어요. 뿌리와 새싹은 1991년 영국의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님이 16명의 학생과 함께 시작한 환경운동 프로그램이에요. 현재는 전 세계 120여 개국의 수십만 개의 팀이 활동하는 거대한 환경운동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사는 맹그로브는 평소 물속에 잠겨 있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 큰 썰물로 물이 빠지면 뿌리를 드러내요. 그런데 맹그로브에 가까이 다가가면 고약한 냄새에 깜짝 놀랄 수 있어요. 냄새의 정체는 바로 육지의 유기물이에요. 육지의 유기물들이 빗물에 쓸려 바다로 유입되기 전에 맹그로브가 이들을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성행하고 있다. 그만큼 야생동물이 입는 피해도 심각하다.밀렵의 이유는 다양하다. 깊게 뿌리 박혀 있는 보신문화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을 준다는 명목으로, 혹은 아무런 이유 없이 오롯이 재미와 호기심으로 밀렵을 한다. 어떤 이유에서든 정부의 규제를 벗어난 무분별한 밀렵은 야생동물의 삶을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랑니가 진화의 흔적이라고 믿고 있어요. 과거 인류는 익히지 않은 고기, 견과류, 뿌리와 같이 질기고 거친 음식을 먹었어요. 그러다 1만 년 전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부드러운 음식을 먹게 되었지요. 그 결과 돌출돼 있던 턱이 점점 들어갔어요. 이렇게 인류의 턱이 작아지자 입 속 깊숙이 있는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구멍 뚫린 판을 올렸다. 이 판이 지면 역할을 한다. 판 위에는 줄기와 잎이, 아래엔 뿌리가 자란다. 자세히 보면 판의 크기는 모두 같지만, 선반마다 판에 뚫린 구멍 수가 다르다. LED 조명 색도 조금씩 다르다. 채소의 생장 단계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육묘가 끝난 새싹은 구멍이 100개 뚫린 판에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반도체를 이을 미래 먹거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하지만 리튬이온전지가 우리의 삶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과정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잊을 만하면 터지는 폭발 사고가 문제였습니다. 1990년대 일본 소니는 가장 먼저 리튬이온전지를 제품화했지만 2006년 발화사고로 1000만 대를 리콜했고, 결국 2016년 ... ...
- 헷갈린 과학 파하하! 같은 줄 알았지? 실파 VS 쪽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대신 쪽파의 뿌리를 심어요. 쪽파에는 ‘종구’라고 부르는 마늘과 비슷하게 생긴 뿌리 부분이 여러 개 생기는데, 이 종구를 2~3쪽씩 떼어서 다른 곳에 심으면 또 새로운 쪽파가 자라지요. 쪽파는 향이 진해서 여러 요리에 활용돼요. 한여름이 지나고 키우기 시작한 쪽파는 10~11월에 수확해 겨울철 ...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토양을 분류할 땐 지형, 흙의 성분, 물빠짐, 모재(토양 생성의 원물질), 유효토심(식물의 뿌리가 뻗을 수 있는 토양의 깊이) 등의 특성을 확인합니다. 이 중 특성들이 한 개라도 다르면 다른 토양이라 여기고 ‘◯◯통’이라고 이름 붙입니다. 아래 표는 독도와 울릉도의 토양을 나타낸 자료입니다. ... ...
- [SF 소설] 화성의 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상태로 남아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먹잇감이라는 건 더더욱 말이 안 됐다. 그리고 같은 뿌리에서 진화한 두 동물의 모양이 이렇게 극단적으로 다른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오로지 뇌와 손만 남아있는 생명체의 모양이 과연 정상인가.세실 하드윅은 지금은 사실로 확인된 가설에 도달했다. 지구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