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맹아
발생
성장
생장
d라이브러리
"
발아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한다. 인공생명의 특정 규칙들이 성장하고 가지치기하면서 잎의 형성 및 꽃의
발아
등 식물 성장의 기본 과정을 모방하고, 이들을 모아 다양한 모양의 식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생명체 성장과정의 모의 실험은 생명체가 가진 신비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10 소프트웨어인가,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뭉친 겨울눈이 서서히 풀리면서 끈끈이액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그 옆에 종자로부터
발아
된 아주 작은 끈끈이주걱이 뭉쳐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월 말부터 6월 초순에 끈끈이액이 가장 왕성하게 분비돼 식충 작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6월 중순이면 잎이 있는 한가운데에서 꽃대가 길게 올라와 작은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발아
에 적합한 환경이 주어진다 해도 개미의 쓰레기장이나 굴 속이 아니면 절대로
발아
하지 못하는 것들도 있다. 개미집 정원에서만 자라는 화초가 된 셈이다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곳을 좋아하거나 이런 환경에 경쟁력이 있는 식물들이 이듬해 봄 하나 둘씩 종자를
발아
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무덤이 조성되기 전에 존재하던 식물사회와 전혀 다른 모습이 나타난다.무덤에 형성되는 식물사회의 구성원은 여러 가지 생존 전략을 갖춘다. 먼저 햇빛과 따뜻한 곳을 좋아하고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연작상경법으로 농업 기술이 발전했다. 벼농사에서는 수경직파법(水耕直播法, 무논에
발아
시킨 볍씨를 직접 파종하는 기술)이 주로 이용됐다.이런 변화 속에서 조선의 중앙정부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언의 축조에 총력을 기울였다. 태종 때의 벽골제 수축(고침)과 세종 때 전라도 고부에 있는 눌제 ... ...
3. 열역학법칙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제2법칙이 어떻게 적용되는가. 생물학적과정은
발아
세포의 구조가 이루어낸 결과다.
발아
세포 내에 이미 입력된 유전정보는 생명체 내부로 들어 오는 화합물들을 동화시켜 점차 모체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어내고 있다. 창조주가 만든 질서와 설계에 따라 생명체가 시작되고 성장될 수 있는 것이다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하지 않는 것도 있다. 가령 '양미역취'는 종자의 휴면기가 없고 온도에 관계없이 언제나
발아
할 수 있으며 종자의 수명이 길다. 그러나 이같은 특성이 다른 귀화식물에도 해당되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이밖에도 귀화식물은 종자의 크기가 비교적 작다든지 국내에 이들 귀화식물의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형성 호르몬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생장 호르몬 식물이 씨에서
발아
하여 생장하는 데는 여러가지 조절물질이 필요하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옥신이다.옥신의 본체는 인돌아세트산(IAA)으로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인돌아세트산은 사람의 오줌에서 ... ...
식물, 밤 낮 구분하는 눈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일어난다. 자, 그렇다면 식물에도 동물과 같이 빛을 감지하는 눈이 있을까?상추 종자
발아
실험에서 '적생광·근적외선 가역반응'을 발견한 미국 농무부 농학연구소 사람들은 곧이어 이 반응에 관여하는 빛수용체 색소 물질을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59년 여름 버틀러(W.L. Butler) 등은 특별한 색소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만들어 번식하는 생활사를 되풀이한다. 그런데 같은 종의 식물이라도 생육환경에 따라
발아
의 시기, 개화 및 결실의 시기가 다르다.이러한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노쇠에 이르는 생활사를 조절하는 물질중 하나가 식물호르몬이다. 식물호르몬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세기말 독일의 식물학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