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속"(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삼고 최근까지의 변화 속도를 고려해 1백년 후의 한국인 얼굴을 복원한 조각이 현재 민속박물관에 보관돼 있다.그러나 한가지 커다란 변수가 있다. 바로 컴퓨터다.현대인이라면 아이나 어른 모두 컴퓨터 앞에서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흔하다. 문제는 자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 작업을 할 때 ...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과학동아 l1999년 06호
- 것이다. 또한 인광은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서도 빛이 나는 차가운 빛(냉광)이다. 민속학자 김종대 박사가 채록한 도깨비불 목격담에서도 많은 목격자들이 도깨비불이 푸르스름한 빛깔의 차가운 불이라고 했다. 일본의 민요에서도 “도깨비불의 창백한 기미가…”하며 도깨비불을 차가운 불로 ... ...
- 추석 차례상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이르렀다. 설, 한식, 추석에 차례 지내는 뜻사당을 모시는 가정이 없어지면서 차례는 민속명절에만 지내게 됐다. 명절에 지내는 차례도 예전과 달리 설날, 한식, 추석의 세 번만 남아있게 됐다. 사당이 없어졌으니까 차례가 모두 없어졌을법한데 설날, 한식, 추석의 차례가 그대로 행해지는 데는 ... ...
- APEC 청소년 과학축전과학동아 l1998년 09호
- 탐방을 과학과 관련지은 것이 우리 고유의 독창성을 살리게 된 배경. 학생들은 한국 민속촌, 창덕궁, 이천 도예마을, 청주 고인쇄 박물관을 방문해 우리의 문화 유적을 살펴봄과 동시에 각 유적에 관련된 과학적인 현상을 논의하고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 프로그램은 외국학생들 뿐만 아니라 ... ...
- 여인의 봉숭아물이 더 진해지는 까닭은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봉숭아물은 어린아이들이 남녀 할 것 없이 모두 들였다고 한다. 최영전씨는 ‘한국의 민속식물’에서 봉숭아물 들이기가 의학이 발달하지 못한 시절에 아이들의 병마를 막고자 하는 귀신을 쫓는 풍습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썼다. 오늘날에는 여성들이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한 방편으로 여기지만, ... ...
- 신들이 노닐던 신라의 옛 숲과학동아 l1998년 07호
- 근거를 둔 것이다. 신라금관의 외형적 상징은 나무를 숭배하는 유라시아 여러 민족의 민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나뭇가지형이다. 나무를 신성시 여기는 시베리아 샤만들은 최근까지도 나무와 사슴뿔로 소박한 나뭇가지형 관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다. 특히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관은 4단의 ...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대보름에는 쥐불놀이, 부럼 깨물기, 더위 팔기 등 전래의 민속놀이가 많다. 그 중에서도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동산 위로 오르는 대보름달을 맞는 달맞이다.맑은 겨울 하늘에서 휘영청 밝은 달을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이지만, 유독 대보름달은 제일 먼저 바라보는 사람의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 ...
- 한민족의 뿌리 알타이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찾아간 곳은 멘드로사콘이라는 곳이다. 아직도 알타이 민족들이 부락을 이루고 사는 민속마을이다. 알타이족의 집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집마다 따로 원추형 오두막집 한채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고대 알타이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여름용 부엌이다. 영하40℃까지 내려가는 겨울에는 ...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열대우림의 소중함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일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인도네시아의 전통 민속노래를 좋아한다는 그녀는 인도네시아가 갖고 있는 거대한 열대우림과 그들의 소중한 관광자원인 오랑우탄의 복지에 막대한 기여를 하고 있다.수십년간 오랑우탄을 연구한 그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
- 한라산 나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자아냈다. 장수풍뎅이, 남색남방공작나비, 청띠제비나비 등 이번에 잡은 모든 나비를 민속자연사박물관에 기증할 예정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최선생을 위로했다. 또 과학동아가 그동안 과학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다면서 좀더 쉽게 내용을 소개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나왔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