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읽기만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할 문제입니다. Q. 이 책의 매력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제가 만들고 싶었던 건 미래의 주인공이 될 독자들에게 ‘웃음을 주는 만화책’이 아니라 ‘웃음도 주는 과학 만화책’입니다. 읽똑 시리즈를 한번 웃고 넘겨버리기보다 여러 차례 읽으면 제가 여러분에게 전해주고 싶었던 내용이 더 잘 ... ...
- [출동! 기자단] 탄소 제로 에너지를 체험하다! 수소 안전 뮤지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2050년으로 떠나 수소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며 기후 위기를 극복해가는 미래를 볼 수 있었어요. 정지아 독자 기자는 “눈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모형을 만지기도 하고 직접 뛰어다니면서 수소에너지를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다”고 말했어요. 이어서 “전문 해설사인 도슨터 선생님 ... ...
- [현장취재] 어린이들, 국회의원회관에서 기후 위기를 외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더 이상 자신의 이익만 좇지 말고 전체를 보았으면 합니다. 이기적인 행동은 저희, 미래세대에게 환경 문제를 떠넘기고 우리들의 꿈을 짓밟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인공지능 화가, 인공지능 작곡가, 인공지능 가수까지 요즘 인공지능의 활약은 끝을 모를 정도야!오늘은 나 과학마녀 일리와 인공지능 자동차로 즐거 ... 자동차가 만들어 내는 다양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민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미래를 준비해야 해요. 여러분은 디지털 시민이니까요 ... ...
- [똥손 수학 체험실] 지금 몇 시? 햇빛만 있다면 언제든 알 수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분침도, 건전지도 필요 없는 손목시계가 있다?!혹시 미래에서 온 시계냐고요?아니요. 저 멀리 과거에서 온 손목 해시계랍니다. 시침, 분침을 대신해 그림자가 시각을 알려주지요! 시계 중의 시계는 바로 나, 해시계! 시계를 만들 때 필요한 건 무엇일까요? 1부터 12까지 적힌 동그란 시계판, 시침, ... ...
- [가상 인터뷰] 미국 청소년, 기후 소송 첫 승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이겼는데? 자연을 보호할 의무는 헌법에도 나와 있어. 몬타나주 헌법에는 ‘주와 개인은 미래 세대를 위해 몬타나의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개선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거든. 청소년들은 해당 헌법 조항을 근거로 주 정부가 책무를 지키는 데 실패했다고 주장했지. 소송을 담당한 캐시 ... ...
- [이달의 과학사] 1930년 9월 8일, 투명한 만능 접착 테이프 스카치테이프 출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접착 테이프는 ‘스카치테이프’입니다. 스카치테이프는 미국 회사 3M에서 만든 접착제가 발린 셀로판테이프의 상표명이에요. ... 용어 정리● 그래핀 : 흑연의 구성 물질인 탄소 원자가 한 겹으로 결합한 물질. 미래 반도체나 우주선의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어린이의 미디어 참여는 권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들어봤을 거예요. 툰베리는 2018년, 15세의 나이로 기후위기와 관련한 사회 운동을 시작해 미래 세대를 대표하는 기후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툰베리는 어떻게 전 세계에 자신의 목소리를 알릴 수 있었을까요? 툰베리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기후위기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리고 15세였던 2018년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비롯해 웜홀의 존재를 믿는 과학자들은 관측 장비와 기술이 지금보다 훨씬 발전한 먼 미래에는 웜홀 또한 발견될 수 있다고 여기며 연구를 이어가고 있어요. 2021년 2월, 러시아 중앙천문대는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활성은하핵’ 중심에 있는 블랙홀이 웜홀의 입구일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 ...
- [특집] 상대성 이론 시간 여행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머물러 있는 사람의 시간보다 훨씬 느리게 간 탓에 둘의 시간이 벌어져 우주 여행자가 미래의 지구로 온 셈이죠. 1905년,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을 제시하면서 시간은 관측자의 상황에 따라 변한다고 주장했어요. 아인슈타인은 먼저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은 느리게 간다’고 발표했어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