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재"(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소개한다. 한옥의 아름다움과 진면목을 알리는 책이다. 최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북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충남 논산과 아산, 전북 남원, 전남 구례와 보성에 있는 고택들을 소개한다. 성냥갑 같이 다닥다닥 지은 아파트와 아찔한 마천루에 지친 현대인에게 이 책은 전통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평가할 때 자주 인용되는 SCI란 ‘Science Citation Index(과학논문인용색인)’의 약자로, SCI에 등재된 학술지는 다 른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지를 뜻한다. 어렵게 논문을 쓴 연 구자들은 논문을 투고할 때 가능하면 SCI급 학술지에 논문을 싣기를 원하 고 있으며,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합성해 대형 작품 ‘달 6월령 모자이크’를 출품했다. 이 작품은 현재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는 세계 최대의 달 모자이크보다 1.6배나 더 큰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해상도 72 dpi 를 기준으로 대상작의 높이는 2.5m, 폭은 6.9m에 이른다.심사위원장인 김천휘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지난해보다 ...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비과학적인 의학이라 여기는 시선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보감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유는 무엇일까? 동의보감이 담고 있는 내용을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 가치를 어떠한 잣대로 평가할 것인지는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주제다. 서양 과학을 바라보는 시각과 동일한 기준으로 ... ...
- “탄소발자국, 알고 마셔요!”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뜻하는 말입니다. 200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라는 말이 처음 등재됐고, 우리나라에서는‘탄소성적표지’라고 부르고 있죠. 이 표지가 붙은 상품은 4월 15일부터 나오기 시작했습니다.탄소발자국은 소비자와 기업이 지구온난화를 막는 데 동참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지구의 ...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뒤 추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익룡으로 밝혀지면 신종으로 등재할 계획이다.임종덕 학예연구관은 미국 캔자스대에서 척추고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에 재직하고 있다. 현재 ...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과학동아 l2009년 07호
- 정기적으로 게재할 가능성이 크다.“2년 이내에 IBC를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시키고 영향력지수(IF)도 크게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영향력지수는 2년 동안 학술저널에 실린 논문이 이듬해에 평균 몇 번이나 다른 논문에 인용됐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지수가 높을수록 논문과 저널의 ...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과학동아 l2009년 07호
- 97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미국 사회에서 신경보철(Neural Prosthesis)이라는 단어는 사전에 등재되지도 않을 만큼 낯선 분야였다. 1978년 서울대에서 전자공학 학사를 마치고 생체전자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길에 올랐던 서울대 전기공학부 김성준 교수도 신경보철에 대해 모르긴 마찬가지였다.6백만 ... ...
- 가장 ‘안전한’ 생활을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04호
- 국제표준화를 위한 논의가 제안돼 치열한 노력 끝에 지난해 11월 국제표준(ISO TR29381)에 등재됐다.앞으로 우리 연구실은 개발된 기술을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흐름을 더욱 강화해 시스템과 대형구조물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안전 알림이’가 되고자 한다. 김국환서울대 재료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재 ...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09년 03호
- 탐사하던 엑클론은 이 식물을 발견했고, 1866년 프리지아는 이 식물의 속명으로 정식 등재됐다.외떡잎식물로 붓꽃과에 속하는 프리지아는 11가지 종(식물분류학자에 따라 숫자는 다름)이 자생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프리지아는 이들 원종(原種)을 수십 년간 서로 교배해 얻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 ...
이전56789101112 다음